환풍구
코팅지 투입구
조작부
희망이는 오늘 해야 할 일을 적어놓은 메모를 봅니다. 가정통신문 복사, 회의 자료 제본, 개인 정보 문서 파쇄 등 해야 할 일이 꽤 많습니다.
하지만 희망이는 다양한 사무용 기기 사용법과 관리 방법을 콘텐츠를 통해 익혀왔습니다. 희망이는 제본기, 팩스, 복사기 등을 활용하여 오늘 할 일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이처럼 교무실에서 다양한 사무용 기기의 사용 방법을 정확하게 알고, 필요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원활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여러분은 다양한 사무용 기기를 활용하여 문서를 복사할 수 있고, 여러 장의 문서를 묶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를 파쇄할 수 있으며, 자료를 코팅해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서나 사진 자료를 스캔할 수 있으며, 팩스를 활용하여 종이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복사기는 문서를 쉽고, 빠르게, 여러 장 복사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복사기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 원고 이송기는 A4 용지처럼 규격 용지를 복사할 때, 한 장이나 여러 장의 원본 문서를 놓는 장치입니다.
덮개는 유리면 위를 덮는 움직이는 부분으로 유리면 위에는 복사할 원본 문서를 놓습니다. 이때 문서의 복사할 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문서를 놓습니다. 유리면에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용지를 올려 복사할 수 있으며 주로 한 장의 문서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데, 유리면 옆쪽에는 복사 가능한 용지별 크기의 눈금이 그려져 있어 복사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조작판은 복사기의 조작 버튼이 들어 있는 부분입니다. 복사기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판의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화면을 통해 기기의 상태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동 급지대는 규격 이외의 용지와 오에이치피(OHP) 필름을 복사할 때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용지마다 수동급지대에 넣을 수 있는 매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한선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용지 공급함은 다양한 표준 크기의 빈 복사용지가 들어 있는 칸입니다. 이곳에 들어 있는 용지 수만큼 복사할 때 용지가 자동으로 들어가 사용됩니다.
복사를 할 때는 복사할 문서의 양을 고려합니다. 문서가 한 장인 경우 유리면을 활용하여 복사하고, 여러 장이거나 양면 복사가 필요한 경우 자동 원고 이송기를 활용합니다.
유리면을 활용하여 복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음 영상을 보면서 유리면을 활용한 복사하기의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유리면을 활용하여 복사하는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그럼 지금부터 다시 한번 순서대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유리면을 활용하여 복사하려면, 우선 덮개를 열고 복사할 내용이 아래로 향하게 자료를 유리면 위에 올려놓습니다.
그다음 용지, 크기, 복사 매수 등 세부 사항을 선택하여 조작 버튼을 누릅니다.
세부 사항을 모두 선택했다면, 시작 버튼을 눌러 복사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복사에 이상이 없는지 복사된 자료들을 확인합니다.
이번에는 자동 원고 이송기를 활용한 복사하기 순서를 살펴볼까요? 먼저 자동 원고 이송기에 복사할 자료를 올려놓고, 용지 조절판을 조절합니다. 그리고 양면 복사나 제본을 설정하고, 용지, 확대 및 축소, 농도, 복사 매수 등을 설정합니다. 시작 버튼을 눌러 복사하고, 복사된 자료를 확인합니다.
복사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다음 영상을 보면서 복사기를 관리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복사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그럼 지금부터 다시 한번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복사기에 용지가 걸렸을 때는 안내에 따라 기기를 순서대로 열고, 걸린 용지를 힘주지 않고 빼냅니다. 용지를 빼냈는데도 계속해서 경고 메시지가 사라지지 않으면 걸린 용지를 모두 제거했는지 확인하고 덮개를 완전히 닫습니다.
조작판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때는 화면 조정 다이얼을 화면 표시가 보일 때까지 밝은 위치로 조정합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예열 버튼을 눌러 기기를 예열하고, 전원 버튼이 켜져 있는지도 확인해 봅니다.
복사기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는 주 전원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고 켜져 있다면 전원 코드가 꽂혀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기능 상태 표시 램프에 빨간색 불이 들어왔을 때는 오류 내용을 확인하고 조작판에 표시된 지시 메시지에 따라 대처해야 합니다.
용지 공급함에 용지가 없을 때는 조작판에 표시된 지시 메시지에 따라 비어있는 용지 공급함을 열어 용지를 넣습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가정통신문 5부를 복사하기 위해서 조작 버튼 2개를 순서대로 눌러보세요.
제본기는 여러 장의 문서를 접착제, 와이어, 코일 등으로 묶어서 책처럼 만들어 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제본기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제본틀은 천공된 원고를 제본하기 위해 올려놓는 곳을 말합니다.
제본기의 천공핀 수 조절기입니다. 천공핀 수 조절기로 원고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천공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천공 손잡이는 제본 손잡이라고도 불립니다. 원고를 용지 투입구에 넣고 손잡이를 내리면 핀 개수만큼 구멍을 뚫게 합니다.
제본기의 마진 조절기입니다. 마진 조절기를 움직여 천공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제본기의 용지 규격 조절기입니다. 용지 규격 조절기를 이용해 원고의 크기나 용지의 여백에 따라 제본할 문서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용지 투입구는 구멍을 뚫을 원고를 넣는 곳입니다. 파지함은 천공된 곳에서 나온 파지가 모이는 곳입니다.
그럼 제본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제본기 사용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그럼 지금부터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제본하려면 먼저 제본할 문서에 맞게 종이 규격과 천공의 깊이를 조절합니다.
그런 다음, 제본할 문서를 용지 투입구에 넣고, 제본 손잡이를 내려 구멍을 뚫습니다.
그런 다음, 제본할 문서를 용지 투입구에 넣고, 제본 손잡이를 내려 구멍을 뚫습니다.
. 이제 제본틀에 링을 끼우고, 레버를 당겨 링을 벌립니다.
마지막으로 구멍을 뚫은 문서를 링 사이에 넣고, 레버를 내려 제본된 문서를 꺼냅니다.
제본기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제본기 레버가 내려가지 않을 때는 천공하는 종이의 양을 줄여서 뚫어봅니다. 제본기 구멍이 가지런하지 뚫리지 않는 경우에는 종이를 가지런히 정리하여 제본기에 넣고, 구멍을 뚫을 때 밀리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잘 잡고 있어야 합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보기 중 제본기가 아닌 것을 찾아 선택해 보세요.
세단기는 원본 문서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문서 세단 투입구는 세단할 문서를 넣는 곳입니다. 세단기 아래쪽에는 이동식 바퀴가 있습니다. 이동식 바퀴를 사용하면 세단기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세단기의 상태 표시창은 현재의 작업 상태나 파지함의 잔여 용량 등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조작판에는 세단기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이 모여 있습니다.
세단기의 파지함 문은 파지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파지함에는 세단된 곳에서 나온 파지들이 모입니다.
세단기를 사용할 때에는 5~7장 정도 소량의 종이만 넣어 파쇄하며 종이 이외의 것은 넣지 않습니다. 특히 문서에 찍힌 스테이플러 침을 제거한 다음 파쇄해야 합니다. 세단기를 사용할 때에는 손가락이 기기에 끼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는 점도 잊지 마세요.
그럼 세단기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동영상을 보며 세단기를 사용하는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세단기 사용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그럼 지금부터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세단기를 이용해서 문서를 파쇄하려면 먼저 세단기의 전원을 켜고,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그런 다음, 파쇄할 문서를 세단기에 넣습니다. 이때 파쇄된 종이가 넘치지 않는지 살펴봅니다.
파쇄가 끝나면 정지 버튼을 누르고, 전원을 끕니다.
마지막으로 파지함에 모인 파쇄된 종잇 조각을 정리합니다.
세단기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전원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전원 스위치가 멈춤 상태인 경우에는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세단기에 종이가 걸렸을 때에는 역회전 기능을 이용해 걸린 종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모터가 과열되었을 때에는 사용을 멈추고 모터가 식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 다시 사용해야 합니다. 안전스위치가 제대로 눌러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문서 세단기 뚜껑을 확인해 봅니다. 뚜껑이 파지함과 잘 장착되어 있으면 안전스위치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사용 준비 상태가 됩니다. 파지함이 가득 찼을 때는 파지함을 확인하고 비웁니다.
한번에 종이를 많이 넣어 세단기에 걸렸을 때는 역회전 기능을 이용해 종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종이가 아주 심하게 걸린 경우에는 구역회전 기능과 자동 기능을 번갈아 가며 조정한 다음 잠시 멈춤에 정지하고 다시 켜서 사용합니다. 이때 너무 빨리 스위치 설정을 바꾸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세단기 사용법에 대해서는 잘 알아보았나요? 개인 정보 문서를 파쇄해 달라는 요청이 왔습니다. 보기에서 바로 파쇄할 수 있는 문서를 찾아 세단기 위에 올려보세요.
코팅기는 문서에 비닐 필름을 씌워 열로 고정해 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코팅기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전원 스위치는 코팅기의 뒷면에 있습니다. 주전원 스위치를 ‘ON’으로 켜면 코팅기에 전원이 공급됩니다.
코팅기의 조작부입니다. 이곳에는 코팅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이 모여 있습니다. 화면을 통해 기기의 상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팅지 투입구입니다. 코팅하고자 하는 문서를 넣은 코팅 필름을 이곳에 넣습니다. 코팅기 윗면에 있는 환풍구는 코팅기 안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 장치입니다.
코팅기를 사용할 때에는 자료를 투입구에 넣을 때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코팅기는 뜨겁기 때문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코팅기를 사용한 후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면 혹시 모를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코팅기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코팅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영상을 보며 코팅기를 사용하는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코팅기 사용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이번에는 하나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코팅기로 문서를 코팅하려면 먼저 코팅기의 온도와 속도를 설정하여 예열해 둡니다.
코팅기 사용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이번에는 하나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코팅기로 문서를 코팅하려면 먼저 코팅기의 온도와 속도를 설정하여 예열해 둡니다.
코팅기가 예열될 동안, 코팅 필름 안에 문서를 넣고 정렬합니다.
코팅기가 예열되면 정렬한 자료에 막힌 부분부터 투입구에 넣습니다.
코팅이 끝나면, 코팅이 문제없이 잘 되었는지 상태를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코팅기의 주전원을 끕니다.
코팅기는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코팅기는 어디에 설치해야 할까요? 코팅기는 습기가 많은 곳이나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쪽에 설치하면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코팅기에는 사용하는 용지는 규정된 코팅지만 사용해야 합니다. 셀로판지나 아크릴, OH P필름 등을 사용하면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코팅지를 잘라서 사용해도 될까요? 코팅지를 잘라 사용하거나 자료 없이 코팅지만 투입하면 코팅지가 롤러에 감겨 말려 들어갈 수 있음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코팅지를 넣을 때 어느 부분이 먼저 들어가야 할까요? 코팅지를 넣기 전에 자료 배치와 코팅지의 막힌 부분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료는 코팅지에서 빈 공간이 없도록 막힌 부분에 밀착시키고, 막힌 쪽이 먼저 롤러에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이번엔 코팅기 롤러의 손상을 막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작업이 끝나면 무열 버튼을 눌러 코팅기의 열을 식혀 줍니다. 그리고 5분 후 주전원 스위치를 끄면 롤러의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앞에서 학습한 내용을 퀴즈로 확인해 볼까요? 문제를 보고, 알맞은 정답을 연결해 보세요.
스캐너는 문서나 사진 자료를 인식하여 컴퓨터 파일로 저장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스캐너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캔 헤드는 문서를 읽어 들이는 장치를 말하며, 스캔 창은 원고를 올려놓는 유리면을 말합니다.
스캐너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동영상을 보며 스캐너를 사용하는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스캔 창 위에 스캔할 문서나 사진을 올려놓습니다.
그런 다음 덮개를 닫고 연동된 컴퓨터로 자료를 스캔합니다.
해상도 등 세부 기능을 설정한 다음, 컴퓨터에 저장합니다.
스캐너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스캔을 했는데 이미지를 얻지 못하는 경우는 원고의 앞 뒷면이 반대로 놓여졌기 때문입니다. 원고를 스캔 창에 올려놓을 때는 스캔 될 면이 아래로 향해야 하고, 자동 원고 이송기로 지급될 때에는 스캔 될 면이 위로 향해야 합니다.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위치가 벗어났을 때는 스캔하는 동안 원고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원고가 스캔 창 유리에 평평하게 눌려져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스캔 된 이미지가 오염되었다면 스캔 창의 유리 또는 유리 커버가 오염된 경우이므로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스캔 된 이미지의 위아래 방향이 거꾸로일 경우, 원본의 위아래 방향이 거꾸로 놓여진 것이므로 정확한 방향으로 놓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스캐너의 사용 방법 순서에 맞도록 사진을 끌어 옮겨보세요.
팩스는 먼 곳에 있는 사람과 종이 문서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기기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팩스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팩스는 원고 받침대, 수화기, 조작판, 배출 원고 받침대 그리고 배출 용지 받침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팩스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동영상을 보며 팩스를 사용하는 순서를 확인해 보세요.
팩스 사용 순서에 대해 잘 살펴보았나요? 그럼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팩스를 사용하려면 먼저 전송할 문서를 원고 받침대에 올려놓습니다.
문서를 받을 상대방의 팩스 번호를 확인하고 누릅니다.
그 다음 전송 버튼을 누르면 팩스가 전송됩니다.
전송 후에 전송 상태를 확인합니다.
팩스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원고에 없는 것이 송신 또는 인쇄될 때 경우 자동 원고 이송기 또는 원고대의 유리를 청소합니다. 또한 수정액이나 잉크 등이 완전히 마른 원고를 넣습니다.문서가 내용 없이 빈 면으로 희게 송신되는 경우는 원고를 올려놓는 면이 잘못된 경우입니다. 원고를 올바르게 다시 올려놓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수신지의 화상에 흰 줄이 생기는 경우, 이는 표면이 가공된 용지, 습기를 포함한 용지를 사용하거나 스치듯이 인쇄된 경우로 습기가 제거된 용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토너를 교체하거나, 상대방이 농도를 진하게 하여 송신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신한 문서가 용지에 인쇄되지 않을 때는, 대행 수신 램프가 켜졌다면 ‘용지 없음’이나 ‘토너 없음’ 등의 원인으로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이 경우 용지나 토너를 점검해 봅니다. 또는 수신 문서 설정을 ‘수신 문서 인쇄’로 설정하고, ‘용지 없음’ 램프가 켜져 있다면 용지를 넣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다음 사진을 보고 팩스를 보내는 순서에 맞게 사진을 끌어 옮겨보세요.
중요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사기는 문서를 쉽고 빠르게 여러 장 복사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기기는 자동 원고 이송기, 덮개, 유리면, 조작판, 수동 급지대, 용지 공급함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복사기의 유리면을 활용하여 복사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먼저 복사할 자료를 유리면 위에 올려놓고, 세부 사항을 선택합니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시작 버튼을 누르고, 복사된 자료를 확인합니다.
이번에는 자동 원고 이송기를 활용한 복사하기 순서를 살펴볼까요? 먼저 자동 원고 이송기에 복사할 자료를 올려놓고, 용지 조절판을 조절합니다. 양면 복사, 제본 여부를 설정한 다음에는 세부사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시작 버튼을 눌러 복사하고, 복사된 자료를 확인해 봅니다.
제본기는 여러 장의 문서를 묶어 책처럼 만드는 기기입니다. 제본기는 제본틀, 천공핀 수 조절기, 천공 또는 제본 손잡이, 마진 조절기, 용지 규격 조절기, 용지 투입구, 파지함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본기를 사용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제본을 하려면 먼저 종이 규격과 천공 깊이를 조절합니다. 그 다음 제본할 문서에 구멍을 뚫고, 제본기에 링을 끼운 후 벌린 다음, 벌어진 링 사이에 구멍을 뚫은 문서를 끼웁니다.
세단기는 원본 문서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기기입니다. 세단기는 문서 세단 투입구, 상태 표시창, 조작판, 파지함 문, 파지함, 이동식 바퀴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단기를 사용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문서를 파쇄하려면 먼저 세단기의 전원을 켜고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세단기가 켜지면 문서를 넣어 파쇄하고, 파쇄가 끝나면 정지 버튼을 누르고 전원을 끕니다. 마지막으로 파쇄된 종잇조각을 정리합니다.
코팅기는 종이에 비닐 필름을 씌워 열로 고정해 주는 기기로 주전원 스위치, 조작부, 코팅지 투입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팅기를 사용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문서를 코팅하려면 우선 온도, 속도를 설정해 코팅기를 예열합니다. 코팅기가 예열되는 동안 코팅 필름 안에 문서를 넣고 정렬해 놓고, 예열이 끝나면 코팅지 투입구에 정렬해둔 문서를 넣습니다. 문서가 코팅되어 나오면 코팅 상태를 확인하고, 작업을 마치면 코팅기의 주전원을 끕니다.
스캐너는 문서나 사진 자료를 인식하여 컴퓨터 파일로 저장하는 기기로 스캔 헤드 및 스캔 창 등으로 구성됩니다.
스캐너를 사용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스캔하려면 먼저 스캐너의 전원을 켜고, 컴퓨터와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연결이 잘 되었다면 스캔 창에 문서나 사진을 올려놓고, 연동된 컴퓨터로 자료를 스캔합니다. 마지막으로 세부 기능 설정 후, 컴퓨터에 파일을 저장합니다.
팩스는 먼 곳에 있는 사람과 종이 문서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기기로 원고 받침대, 수화기, 조작판, 배출 원고 받침대, 배출 용지 받침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팩스를 사용하는 순서를 정리해 볼까요? 팩스를 보내려면 먼저 전송할 문서를 원고 받침대에 올려놓습니다. 문서를 받는 곳의 팩스 번호를 확인하고 누른 다음, 전송 버튼을 누릅니다. 마지막으로 팩스의 전송 상태를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