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내리지 않고 서 있는 학생
숨어 있는 학생1
숨어 있는 학생2
내리지 않고 서 있는 학생
숨어 있는 학생1
숨어 있는 학생2
내리지 않고 서 있는 학생
숨어 있는 학생1
숨어 있는 학생2
※그림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내레이터 : 이번시간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어떤 안전사고 경험이 있었는지 통학보조 인력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볼까요?
통학보조 인력 치즈마을에서 피자 만들기 체험을 하는 날이었어요. 다들 들떠서 통학버스를 타고 학교로 가고 있었는데 갑자기 버스 뒤쪽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했어요. 버스에 타고있던 학생들은 무서워서 소리를 지르고 내리겠다고 고집을 피우기도 했어요
내레이터 : 그런 다음 어떻게 했나요?
통학 보조 인력 : 제가 앞에 서서 친구들 통학버스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잘 해결 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아요. 지금부터 저의 지시사항에 따라 주기 바랍니다.”라고 말하고 운전원분께 이야기 하여 #4 안전한 곳에 임시 주차를 하게 하였습니다.
통학 보조인력 : 그리고 나서 저는 학생들이 버스에서 내려 인도에서 대기하도록 하였습니다. 학교와 보호자에게 전화 연락을 했고 잠시 후 자동차 수리업체가 와서 버스를 수리 한 후 학교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조금 도착이 늦어지기는 했지만 침착하게 처리했던 덕분에 모두 즐겁게 피자 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서 통학버스 관련 안전사고 예방법과, 통학버스 관련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통학버스에서는 여러가지 안전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버스에 탈때, 버스 안에서, 그리고 버스에서 내릴 때 일어날수 있는 안전사고의 유형들을 정확히 알아 두어야 합니다.
버스에 탈 때 일어나는 안전사고에는 버스에 타려고 급하게 길을 건너다 일어나는 사고, 버스에 오르다 계단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 버스에 오르는 중 차량이 출발해 넘어지는 사고가 있습니다. 각각을 클릭해 예방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버스에 타려고 급하게 길을 건너다 일어나는 사고 예방법입니다. 버스가 길 건너편에 오더라도 학생이 무단횡단을 하지 않고,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널 수 있도록 알려주어야 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도 주위를 살피고 건너며, 횡단보도 오른쪽 편에서 건널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버스에 오르는 중 계단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도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예방하기위해서 비나 눈이 오는 날은 학생들이 계단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버스에 오를 때 손을 잡아 줄 수 있도록 합니다. 버스 계단과 복도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합니다. 계단이나 복도에 미끄러질 수 있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 휴지나 대걸레를 이용하여 닦아 제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버스에 올라타서 좌석으로 이동 중 차량이 출발해 넘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학생이 좌석에 앉아 안전띠를 착용할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학생이 좌석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운전원에게 출발 신호를 보내 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번엔 버스 안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스 안에서 친구들끼리 장난치다 일어나는 사고와 급제동으로 생기는 사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창문 밖으로 신체 부위를 내밀어 사고가 발생하거나, 차 안에 갇혀서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을 클릭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버스 안에서 친구들끼리 장난치다가 사고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버스에서는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또한, 버스 안에서 장난을 치다가 급제동, 접촉사고, 친구의 문제 행동 등 예상하지 못하는 다양한 상황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 장난을 치지 않도록 이야기 합니다.
버스의 급제동으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안전띠를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학생이 앉은 좌석과 앞좌석 사이에 날카롭거나 뾰족한 물건이 있으면 한쪽에 정리하였다가 하차할 때 보호자나 담임교사에게 전달해 사고를 방지합니다.
창문 밖으로 신체 부위를 내밀어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창문 밖으로 신체 부위를 내밀지 못하도록 학생들에게 주의를 줍니다. 계속해서 창문 밖으로 신체를 내미는 행동을 하려 하는 경우 안쪽 좌석으로 자리를 이동시켜 창문과 거리를 둡니다. 그리고 운행 시 창문이 닫혀 있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차 안에 갇혀 질식하는 사고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버스에서 모두 내렸는지 차량 안쪽 좌석부터 입구 쪽 방향으로 반드시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절대 학생을 차안에 혼자 두지 않습니다. 버스 내 비상벨을 설치하여 학생이 혼자 남게 되는 경우 비상벨을 누를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다음은 버스에서 내릴 때 일어나는 안전사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스에서 내릴 때는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버스에서 내린 후 오토바이나 자전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 문에 옷이나 가방이 끼여 일어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고,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을 발견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사고도 있습니다. 각각을 클릭해 하나 하나씩 살펴보세요.
버스에서 내리다가 계단에서 넘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판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미끄러운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확인하고 정리합니다. 그리고 버스가 완전히 정차한 후에 일어나서 내릴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버스에서 내린 후 오토바이, 자전거 등과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학 보조 인력이 통학 버스에서 먼저 내리고, 좌우를 살핀 후 학생이 하차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오토바이와 자전거가 접근하는 경우 손으로 잠시 기다려 달라는 신호를 보내고 학생들이 먼저 내릴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학생의 하차를 기다려준 오토바이와 자전거 운전자에게 “기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를 합니다.
차 문에 옷이나 가방이 끼여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차 전 옷이나 가방이 차문에 끼이거나 걸리지 않도록 용모를 단정하게 합니다. 학생이 하차 할 때 버스에서 같이 내려 학생의 옷이나 가방이 문에 걸려 있는지 점검합니다. 출발 전 반드시 주변을 살펴보고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확인합니다.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을 발견하지 못해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내린 후 출발하기 전 차의 운행 방향에 학생이 있는지 주위를 살피고 확인합니다. 버스에서 하차하고 차가 없는 안전한 곳에서 학생이 기다리게 하고, 차량이 떠난 후 이동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통학버스 운행이 끝났지만, 버스에서 내리지 않은 학생들이 있습니다. 학생들이 버스에서 내릴 수 있도록 버스 입구로 드래그해 보세요.
안전사고에는 교통사고, 질식, 심정지, 의식이 없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 가벼운 상처를 입은 경우 등 여러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각 상황에 따라 대처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각 항목을 클릭해 하나하나 살펴보세요.
구급 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학생들이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사고 발생 시 주변에 보이지 않는 학생이 있는지 인원 점검을 철저히 하도록 합니다.
부상당한 학생이 있는지 신속히 파악하여 심각한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가벼운 부상일 경우라도 간단한 구급처치를 하고 병원으로 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2차 교통사고를 막고 위해 사고 지점 주변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통학 버스 사고 상황을 기관과 보호자에게 반드시 알릴 수 있도록 합니다.
안전 삼각대를 조립하는 방법은 케이스에서 안전 삼각대를 꺼내고, 안전 삼각대를 부채 펴듯 펼쳐 후크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대를 펼쳐 세웁니다.
질식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학생이 호흡 곤란과 질식 증상을 보이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버스를 안전한 곳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버스 주변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구급차가 올 때까지 학생들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학생을 바닥에 편하게 눕힙니다. 만일 학생 주변에 물체가 있는 경우 다른 곳에 정리해 두고, 학생이 입고 있는 옷을 느슨하게 풀어줍니다.
심정지가 일어나는 경우 주변 사람에게 도움이나 119에 신고 요청을 합니다. 그리고 가슴 압박을 30회 시행합니다.
그리고 #1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합니다. #2 학생이 호흡하거나 구급차가 올 때까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
그리고 #1 학생들이 혼란해 하거나 자리를 이탈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2 심리적 안정을 취하게 하고, #3 인원 파악을 철저히 해야합니다.
#1 의식이 없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 #2 오물이 목을 막아 질식하지 않도록 #3 옆으로 눕힙니다.
#1 가벼운 상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2 차량 내 구급약품으로 상처를 소독하고, 필요시 밴드를 붙입니다. #3 가벼운 상처라도 반드시 담임 선생님과 보호자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4 차량 내에 있는 물체에 긁히거나 찔려 생긴 상처의 경우 해당 물체는 다른곳에 정리합니다.
통학 버스 운행 중 심정지로 힘들어하는 학생이 생겼습니다. 구급차가 올 때까지 응급처치를 해 보세요.
중요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버스에 탈 때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무단횡단을 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버스에 오르는 중 계단에 미끄러져 넘어지지 않도록 손을 잡아주거나 계단과 복도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합니다. 버스에 오르는 중 차량이 출발해 넘어지지 않도록 학생이 좌석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운전원에게 출발 신호를 보내 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버스 안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좌석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운전원에게 출발 신호를 보내 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친구들끼리 장난치지 않도록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급제동에 의해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학생의 안전띠를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그리고 창문 밖으로 신체 부위를 내밀지 않도록 주의를 주거나 안쪽 좌석으로 자리를 이동시키고, 차 안에 갇혀 질식하지 않도록 차량 안쪽에서 입구쪽으로 학생들이 모두 하차하였는지 확인하고, 버스 내 비상벨을 설치합니다.
질식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버스를 안전한 곳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버스 주변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 구급차가 올 때까지 학생들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생을 바닥에 편하게 눕히고, 주변에 물체가 있는 경우 다른 곳에 정리해 두고, 학생이 입고 있는 옷을 느슨하게 풀어줍니다.
심정지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심정지를 확인한 후 주변에 도움 및 119 신고를 요청합니다. 가슴 압박 30회 시행한 후 인공호흡 2회 시행합니다.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합니다.
가벼운 상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차량 내 구급약품으로 상처를 소독하고, 필요시 밴드를 붙입니다. 가벼운 상처라도 반드시 담임 선생님과 보호자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차량 내에 있는 물체에 긁히거나 찔려 생긴 상처의 경우 해당 물체를 다른 곳에 정리하거나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