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스판덱스
커튼, 스타킹, 수영복 등이 해당
천연 섬유보다 가볍고, 질기며, 잘 안 구겨짐
열에 약하고 정전기가 잘 일어남
※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흔들어 빨기
세제 용액을 넣고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 빠는
방법
눌러 빨기
세제 용액을 넣고
양손으로 가볍게 눌러
빠는 방법
주물러 빨기
세제 용액을 넣어
양손으로 가볍게 주물러
주는 방법
두드려 빨기
세탁물을 방망이
등으로 두드려 빠는
방법
※각 항목을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비벼 빨기
세탁물에 비누를 칠하거나
세제 용액에 담근 후,
손이나 빨래판 위에서 비벼
빠는 방법
세탁 솔로 빨기
세탁물을 솔로
문질러 빠는 방법
삶아 빨기
세탁물을 세제
용액에 넣고 삶아서
빠는 방법
밟아 빨기
세제 용액을 넣고
체중을 실어 밟아
빠는 방법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을 세탁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올바른 세탁을 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종류와 그에 맞는 세탁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세탁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옷의 내부에 있는 의류 품질 표시 라벨을 확인하면 섬유의 종류와 세탁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여러분은 섬유의 종류와 세제의 종류, 세탁표시기호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탁물에 알맞은 방법으로 세탁할 수 있습니다.
섬유는 실을 만들 수 있는 가늘고 긴 모양의 물질입니다. 이러한 섬유는 재료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천연 섬유와 재생 및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입니다.
천연 섬유는 면섬유, 모섬유, 견섬유 등이 있습니다. 그림을 선택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볼까요?
목화솜에서 얻는 면섬유는 입었을 때 편안한 느낌이 들고 땀을 잘 흡수해서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속옷, 작업복, 운동복, 이불, 행주 등에 사용됩니다. 양털에서 얻는 모섬유는 보온성이 좋으므로,겨울철 옷, 스웨터, 코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누에고치에서 얻는 견섬유는 표면에 자연스러운 반짝거림이 있어 광택과 촉감이 좋습니다. 블라우스, 스카프, 한복 등에 사용됩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속옷, 행주, 스웨터, 코트, 블라우스, 한복 등이 천연 섬유에 해당됩니다.
재생 및 반합성섬유는 목화씨나 목재를 녹여서 섬유로 뽑아낸 것으로, 레이온과 아세테이트가 있습니다. 레이온과 아세테이트는 광택과 촉감이 좋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넥타이, 셔츠 등이 재생 및 반합성섬유에 해당됩니다.
합성섬유는 석유에서 얻은 물질을 원료로 섬유를 뽑아낸 것을 말합니다. 각각의 단어를 선택해 합성섬유에 대해 알아보세요.
종류에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스판덱스 등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커튼, 스타킹, 수영복 등이 합성섬유에 해당됩니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는 천연 섬유보다 가볍고, 질기며, 구김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열에 약하고 정전기가 잘 일어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음 그림 중 천연 섬유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지 모두 선택해 보세요.
네 맞습니다. 천연섬유에는 면섬유와 모섬유가 있습니다. 재생 및 반합성섬유는 목화씨나 목재를 녹여서 섬유로 뽑아낸 것이고, 합성섬유는 석유에서 얻은 물질을 원료로 뽑아낸 섬유입니다.
#0 세제의 종류를 알아봅시다. 세제는 세탁 방법에 따라 물세탁용 세제와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합니다. 이외에도 유연제와 표백제가 있습니다.
세제는 세탁 방법에 따라 물 세탁용 세제와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합니다. 물세탁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집에서 세탁을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드라이클리닝은 기름성질을 띄는 세제를 사용해 옷을 세탁하는 방법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물세탁용 세제에는 알칼리성 비누와 합성 세제가 있습니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에는 석유계 용제와 불연성 합성 용제가 주로 쓰이나, 그 밖에 플루오린계 용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드라이클리닝은 유기 용제를 사용해 오염을 제거합니다.
유연제는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해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표백제는 세제만으로는 없애기 힘든 얼룩을 제거하는데 사용됩니다. 표백제에는 산소계 표백제와 염소계 표백제가 있습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다음 중 세제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끼리 연결해 보세요.
네 맞습니다. 물세탁용 세제는 알칼리서 비누, 합성 세제가 해당합니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에는 석유계 용제, 불연성 합성 용제, 플루오린계 용제가 해당합니다.
우리가 입고 있는 옷에는 ‘품질표시’ 라벨이 붙어 있습니다. 이 라벨에는 소비자가 옷의 성분이나 성능, 규격 등을 구별할 수 있는 여러 표시가 적혀 있습니다. 또한 세탁이나 손질을 할 때에 필요한 정보도 적혀 있습니다.
만약, 작업자가 이러한 표시를 확인하지 않고, 세탁 정보 및 세탁 방법과 다르게 세탁해서 문제가 생긴다면, 그 책임은 세탁원에게 있으므로 세탁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세탁 방법에 맞게 세탁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품질표시 라벨에 적혀 있는 표시에는 치수 표시, 조성 표시, 취급 표시, 표시자명이 있습니다. 각 항목을 선택해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치수 표시는 일반적으로 신장 및 가슴둘레, 허리둘레 등을 cm를 사용해 표시합니다.
조성 표시는 옷이 무슨 섬유로, 어떤 비율로 섞어 만들어졌는지를 나타내는 표시로 섬유의 명칭이나 혼용률을 표시합니다.
취급 표시는 섬유의 성분에 적합한 세탁 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방법, 드라이클리닝 방법, 탈수와 건조 방법 등을 표시합니다.
가공 표시는 옷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 방수·발수 및 방염 등의 가공을 했는지 가공 여부를 표시합니다. 성능 표시는 옷이 오그라들거나 줄어드는 비율인 수축률이나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인 난연성 등 옷의 성질이나 기능을 표시합니다.
표시자명은 제조자 이름, 소비자상담실, 제조국명 등을 표시합니다.
방금 살펴 본 품질 표시 중 취급 표시 기호에 대해 좀더 살펴볼까요? 취급 표시 기호는 세탁 방법을 안내하는 기호입니다. 취급 표시 기호에는 물세탁 기호, 표백 기호, 다림질 기호, 드라이클리닝 기호 , 탈수법 기호, 건조법 기호 등 6가지가 있습니다. 각 항목을 선택해 기호가 나타내는 의미를 알아봅시다.
물세탁 기호는 물의 온도, 세탁기 사용 가능여부, 사용 가능한 세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물 온도 95℃를 표준으로 세탁기로 세탁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기호는 물 온도 30℃를 표준으로 약하게 손세탁할 수 있고, 중성세제를 사용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표백 기호는 표백제의 종류, 표백제 사용 가능 여부를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염소계 표백제로 표백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기호는 산소, 염소계 표백제로 표백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다림질 기호는 다리미 온도, 다림질 가능 여부를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원단 위에 천을 덮고 180-210℃로 다림질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기호는 다림질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드라이클리닝 기호는 드라이클리닝 가능 여부와 용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석유계 용제로 드라이클리닝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오른쪽 기호는 드라이클리닝 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탈수법 기호는 탈수 방법을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손으로 약하게 짜거나 원심 탈수기로 단시간에 탈수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기호는 손으로 짜면 안 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건조법 기호는 건조 방법을 표시합니다. 왼쪽 기호는 옷걸이에 걸어서 그늘에 건조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기호는 세탁 후 기계로 건조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다음 중 설명에 맞는 세탁 취급 표시 기호를 보기에서 골라 놓아보세요.
네, 맞습니다. 줄이 그어진 해 모양에 옷걸이라고 써 있는 그림은 옷걸이에 세탁물을 걸어서 그늘에 건조시킨다는 표시 입니다. 삼각형에 염소 산소 표백이라고 써 있고 X 표시가 되어 있는 표시는 염소, 산소 표백제로 표백할 수 없다는 표시 입니다. 다리미에 180~210이라고 써 있고, 밑에 구불거리는 선이 있는 표시는 원단 위에 천을 덮고 180~210℃로 다림질 할 수 있다는 표시 입니다. 물통에 물이 들어있고 손세탁 약 30℃ 중성이라고 되어 있는 표시는 물의 온도 30℃를 표준으로,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약하게 손세탁 할 수 있다는 표시 입니다.
세탁방법에는 크게 손빨래와 기계 세탁이 있습니다.
손빨래는 손으로 직접 하는 빨래 방법으로, 세탁 효과가 뛰어나며 옷감 손상이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
손빨래는 흔들어 빨기, 눌러 빨기, 주물러 빨기, 두드려 빨기, 비벼 빨기, 세탁 솔로 빨기, 삶아 빨기, 밟아 빨기 등 8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흔들어 빨기, 눌러 빨기, 주물러 빨기, 두드려 빨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각 항목을 선택해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흔들어 빨기는 세제 용액을 넣고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 빠는 방법으로, 옷감의 손상이 적지만 세탁 효과는 좋지 않습니다. 눌러 빨기는 세제 용액을 넣고 양손으로 가볍게 눌러 빠는 방법입니다. 주물러 빨기는 세제 용액을 넣어 양손으로 가볍게 주물러 주는 방법입니다. 두드려 빨기는 세탁물을 방망이 등으로 두드려 빠는 방법으로, 형태가 변하지 않는 직물에 적합합니다.
또 다른 빨래 방법인 비벼 빨기, 세탁 솔로 빨기, 삶아 빨기, 밟아 빨기의 4가지도 각각 선택해 확인해 보세요.. 비벼 빨기는 세탁물에 비누를 칠하거나 세제 용액에 담근 후, 손이나 빨래판 위에서 비벼 빠는 방법입니다. 세탁 효과는 좋으나 섬유의 손상이 심하고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세탁 솔로 빨기는 세탁물을 솔로 문질러 빠는 방법입니니다. 삶아 빨기는 세탁물을 세제 용액에 넣고 삶아서 빠는 방법입니다. 합성섬유나 혼방 제품은 삶지 않습니다. 밟아 빨기는 세제 용액을 넣고 체중을 실어 밟아 빠는 방법입니다.
다음, 기계 세탁은 대형 기기를 사용하는 세탁 방법으로 #2세제와 물을 사용하는 물세탁 기기, 유성의 휘발성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드리이클리닝 기기, 건조를 하는 건조기, 롤러 아이로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물세탁 기기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세탁이 가능하며, 세탁물이 늘어나거나 줄어주는 등 옷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옷, 양말, 시트, 수건, 작업복 등을 세탁합니다.
다음, 드라이클리닝 기기는 휘발성 유기 용제를 사용해 세탁하는 방법으로 형태 변화, 신축 등의 문제 발생이 적습니다. 슈트류, 드레스류, 실크류, 양모류 등을 세탁합니다.
다음, 인체 프레스기는 인체 모형에 와이셔츠 또는 바지를 입혀 뜨거운 바람으로 다림질하는 기기입니다.
다음, 건조기는 뜨거운 바람으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입니다.
마지막으로, 롤러 아이로너는 숙박업소의 침대 시트 커버 및 식탁보를 다림질할 때 사용하는 기기입니다. ‘시트롤러’라고도 불리며, 기계 작동은 숙련된 직원이 실시하도록 해야 합니다.
앞에 학습한 내용을 확인해 볼까요? 다음 중 기계 세탁에 해당하는 것만 선택해 보세요.
네 맞습니다. 인체 프레스 기기와 롤러 아이로너는 기계세탁에 사용하고, 흔들어 빨기와 밟아 빨기는 손빨래 방법입니다.
중요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섬유는 재료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천연 섬유와 재생 및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입니다. 첫째, 천연 섬유는 면섬유, 모섬유, 견섬유 등이 있습니다. 둘째, 재생 및 반합성섬유는 목화씨나 목재를 녹여서 섬유로 뽑아낸 것으로, 레이온과 아세테이트가 있습니다. 셋째, 합성 섬유는 석유에서 얻은 물질을 원료로 섬유를 뽑아낸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스판덱스 등이 있습니다.
세제는 세탁 방법에 따라 물세탁용 세제와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합니다. 이외에도 유연제와 표백제가 있는데요. 물세탁용 세제에는 알칼리성 비누와 합성 세제가 있습니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에는 석유계 용제와 불연성 합성 용제가 주로 쓰이나, 그 밖에 플루오린계 용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드라이클리닝은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오염을 제거합니다.
유연제는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해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표백제는 세제만으로는 없애기 힘든 얼룩을 제거하는데 사용됩니다. 표백제에는 산소계 표백제와 염소계 표백제가 있습니다.
의복의 품질표시 라벨에 적혀 있는 표시에는 치수 표시, 조성 표시, 취급 표시, 표시자명이 있습니다.
취급 표시 기호는 세탁 방법을 안내하는 기호입니다. 취급 표시 기호에는 물세탁 기호, 표백 기호, 다림질 기호,
드라이클리닝 기호, 탈수법 기호, 건조법 기호 등이 있습니다.
손빨래는 흔들어 빨기, 눌러 빨기, 주물러 빨기, 두드려 빨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손빨래는 비벼 빨기, 세탁 솔로 빨기, 삶아 빨기, 밟아 빨기 등이 있습니다.
기계 세탁은 대형 기기를 사용하는 세탁 방법으로, 물세탁 기기, 드라이클리닝 기기, 인체 프레스 기기가 있습니다.
또한 기계 세탁은 건조기, 롤러 아이로너 등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