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차구조
【배우기】
엔트리로 해보자
파이선으로 해보자
순차구조는 일을 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순서대로 하나씩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요리를 한다거나 장난감을 조립할 때 순서를 빼먹거나 바꿔서 한다면 어떻게 될까? 요리가 엉망이 되어서 맛이 없는 음식이 되거나 장난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될 것이다. 코딩을 할 때도 순서대로 하나씩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1엔트리로 해보자
나의 공책 오브젝트를 배경으로 추가한다.
도형을 그리기 위한 연필 오브젝트를 추가한다.
오브젝트를 추가한 후 연필 오브젝트의 가운데 위치한 중심점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여 연필심 쪽으로 옮겨서 도형을 그리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해주도록 한다.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블록
② [붓] 꾸러미 - [그리기 시작하기] 블록
③ [움직임] 꾸러미의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 블록
④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의 O에 50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움직임] 꾸러미 -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 블록
②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의 O에 120도 입력하기
③ [움직임] 꾸러미 -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 블록과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 블록 3번 연결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블록
② [붓] 꾸러미 - [그리기 시작하기] 블록
③ [움직임] 꾸러미의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 블록
④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의 O에 50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움직임] 꾸러미 -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 블록
②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의 O에 90도 입력하기
③ [움직임] 꾸러미 - [이동방향으로 O만큼 움직이기] 블록과 [이동방향을 O만큼 회전하기] 블록 4번 연결하기
2파이선으로 해보자
print(“동해물과 백두산이”)
print(“마르고 닳도록”)
>1_1.py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print( ) 함수는 모니터에 결과물을 출력한다. ( ) 안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묶어준 것은 텍스트로 인식되어서 그대로 출력된다. 따라서 윗줄부터 차례대로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을 모니터에 출력된다.
print(“동해물과 백두산이”)
print(“마르고 닳도록”)
>1_2.py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print( ) 함수의 ( ) 안에 숫자가 대입된 변수를 입력하면 변수에 대입된 수가 출력된다. 예제 코드는 변수 a에는 1을 대입하고, 변수 b에는 2를 대입한 후 변수 c를 a+b로 대입했을 때 c를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c에 대입된 수는 차례대로 a에는 1이, b에는 2가 대입되어 있으므로 1+2의 값인 3이 된다.
1교시 국어
2교시 수학
3교시 사회
4교시 과학
점심시간
5교시 음악
print(“1교시 국어”)
print(“2교시 수학”)
print(“3교시 수학”)
print(“4교시 과학”)
print(“점심시간”)
print(“5교시 음악”)
a=8-2
print(“8빼기 2는”, a, “다.”)
1) 나에 대해 이름, 나이, 좋아하는 색, 좋아하는 동물이 차례로 출력되도록 해 보자.
2) 구구단 9단이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해 보자.
3) 우리 가족의 이름과 나이의 합이 차례대로 출력되도록 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