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변수
【배우기】
엔트리로 해보자
파이선으로 해보자
변수는 어떤 숫자나 문자와 같은 자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새로운 자료를 저장하면 기존의 자료에 새로운 자료를 덮어쓰게 된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요리에 비유한다고 하면,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그릇을 준비하는 것과 같다. 요리를 하기 전에 그릇을 준비해야 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을 할 때도 변수 를 먼저 선언해주는 것이 좋다.

1엔트리로 해보자

[결과 확인 버튼] 오브젝트를 추가한다.

[속성] 탭의 변수 추가하기로 [클릭] 변수 추가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블록
② [자료] 꾸러미 - [클릭 O로 정하기] 블록
③ [클릭 O로 정하기] 블록의 O에 0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오브젝트를 클릭했을 때] 블록
② [자료]꾸러미 - [클릭에 O만큼 더하기] 블록
③ [클릭에 O만큼 더하기] 블록의 O에 1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블록
② [자료] 꾸러미 - [클릭 O로 정하기] 블록
③ [클릭 O로 정하기] 블록의 O에 0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오브젝트를 클릭했을 때] 블록
② [자료]꾸러미 - [클릭에 O로 정하기] 블록
③ [클릭 O로 정하기] 블록의 O에 켜짐 입력하기

[예제코드]
① [시작] 꾸러미 - [오브젝트를 클릭했을 때] 블록
② [자료]꾸러미 - [클릭에 O로 정하기] 블록
③ [클릭 O로 정하기] 블록의 O에 꺼짐 입력하기













2파이선으로 해보자
파이선에서는 변수의 이름을 직접 지어줘야 하는데, 다음 규칙을 지켜서 지어야 한다.
1) 문자, 숫자, 언더바(_)를 포함할 수 있다.
2)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3)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4) 파이선에서 사용하는 예약어(True, False, and, or, not 등)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a="안녕?"
print(a)

> 3_1.py
안녕?
첫 번째 행에서 변수 a에 “안녕?”이라는 문자열을 대입한 후 세 번째 행의 print( ) 함수로 변수 a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a="안녕?"
b=a
print(a,b)

> 3_2.py
안녕?안녕?
첫 번째 행에서 변수 a에 “안녕?”이라는 문자열을 대입한 후 두 번째 행에서 변수 a의 값인 “안녕?”을 변수 b에 대입하도록 했다. 세 번째 행의 print( ) 함수로 변수 a와 b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a='''도윤아''
안녕
반가워'
print(a)
b="""서하도
안녕
나도 반가워"""
print(b)

> 3_3.py
도윤아
안녕
반가워
서하도
안녕
나도 반가워
한 문장을 표현할 때에는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지만 여러 줄로 이루어진 문자열의 경우 “ ”와 ‘ ’로 묶어줄 수 없기 때문에 연속된 큰따옴표(“”) 또는 연속된 작은따옴표(‘’)를 사용해서 변수에 대입한다.
a=3
b=1.5
print(a)
print(b)

> 3_4.py
3
1.5
변수 a에는 정수 3을 대입하고, 변수 b에는 실수 1.5를 대입한 후 변수 a와 b를 출력한 결과다.
a=3.5
b=a
print(a,b)

> 3_5.py
3.5 3.5
변수 a에는 실수 3.5를 대입하고, 변수 b에도 변수 a의 값인 실수 3.5를 대입한 후 변수 a와 b를 출력한 결과다.
a=1+5.5
b=10-3
print(a)
print(b)

> 3_6.py
6.5
7
변수 a에는 1+5.5의 연산 값을, 변수 b에는 10-3의 연산 값을 대입한 후 변수 a와 b를 출력하면 연산 값인 6.5와 7이 출력된다.
숫자형 데이터 형식은 크게 정수형 데이터와 실수형 데이터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정수는 음의 정수, 0, 양의 정수를 말하며, 실수는 1.2, -20.3처럼 소수점이 있는 데이터다. 정수 및 실수형 데이터는 모두 숫자형 데이터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변수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예제 코드다.
a=10
b=-1.52
print(type(a))
print(type(b))

> 3_7.py
<class ‘int’>
< class ‘float’>
type( ) 함수는 변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함수다. 변수 a에는 정수 10을 대입하고, 변수 b에는 실수 -1.52를 대입한 후 변수 a와 변수 b의 변수의 종류를 확인한 결과다. 변수 a는 정수형 변수이므로 <class ‘int’>가, 변수 b는 실수형 변수이므로 < class ‘float’>가 실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a=’’’”I’m your friend.” he said’’’
print(a)
a=1
b=2.5
print(type(a))
print(type(b))
1) “파이선 프로그래밍은 재미있어요.”라고 선생님이 말씀하셨어요.가 출력되게 해 보자.
2) 변수 a에는 “3”, 변수 b에는 3을 대입하고, 변수 a와 b가 어떤 종류의 변수인지 확인해 보자.
3) 변수 c에는 나의 이름을, 변수 d에는 나의 키를 대입하고, 예시처럼 출력되게 해 보자.
○○○(이름), ○○○(키)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