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칠교놀이를 하면서 절차를 알아봐요.

1알고리즘을 활용해서 칠교 모양 만들기

컴퓨터는 정확하게 무엇을 해야 할지 처리 내용과, 처리 순서를 모두 구체적으로 알려 주어야만 제대로 명령을 수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알고리즘이 필요한 것이다.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이 명령을 수행한 다음에는 무슨 일을 처리하고, 그 다음에는 어떤 파일들을 모아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명령의 내용과 순서, 처리 방법을 모아놓은 것이다.

칠교놀이란 정사각형 1개, 평행사변형 1개, 큰 직각삼각형 2개, 중간 직각삼각형 1개, 작은 직각삼각형 2개를 가지고 여러 가지 동물이나 물건·문자 등의 모양을 만드는 놀이로, 학생들의 사고력, 상상력, 조직력을 기르는데 매우 유용하다. 컴퓨터가 칠교 조각을 이용해서 의미가 있는 모양을 만들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칠교 조각을 사용해서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나 방법이 필요하다.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미지. 칠교 조각 중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로 집 모양을 만든 이미지

위와 같은 집 모양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

첫 번째, 칠교 조각 중 가장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를 고른다.

두 번째, 가장 큰 삼각형의 직각 부분이 맨 위에 오도록 삼각형을 놓는다.

세 번째, 작은 삼각형 2개를 붙여서 정삼각형을 만든다.

네 번째, 가장 큰 직각삼각형의 밑면의 가운데에 작은 직각삼각형 2개로 만든 정사각형을 놓는다.

다섯 번째, 3개의 삼각형이 삼각형 지붕이 있는 집 모양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2알고리즘을 생각하면서 칠교 놀이하기

[활동목표]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활동안내]
이미지. 선생님께 칠교놀이 만드는 절차를 안내받고 직접 만드는 동영상의 스크린샷
[활동]
절차안내(선생님)
1.5번 도형을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놓기
2.5번 도형 아래에 4, 6번 도형을 붙여 큰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기
3.1번, 2번 도형을 정사각형(■)으로 만들기
4.큰 삼각형(▲)아래 정사각형(■)을 붙여 집 모양으로 완성하기
[활동결과]
이미지. 7개의 칠교 조각중에서 사각형, 작은 삼각형 2개로 큰 삼각형을 만들고 삼각형 2개로 정사각형을 만들어 집 모양을 완성한 모습
[준비물]
칠교판. 활동지
[활동팁]
1.절차를 설명할 때 청각장애 학생의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말 대신 수화나 글(작은 칠판에 써서)로 설명한다.
2.처음 칠교로 모형을 만들 때 어려움이 있는 친구들은 사전에 칠교판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해본다.
3.시작 할 때는 칠교판 2개로 모양을 만들어보는 절차부터 시작해서 점차 개수를 늘려서 만들어볼 수 있도록 한다.

3보조활동

[활동목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알고리즘을 쓸 수 있다.
[보조활동]
이미지. 칠교 조각 중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로 집 모양을 만든 이미지
① 칠교 조각 중 가장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를 고른다. ② 가장 큰 삼각형의 직각 부분이 맨 위에 오도록 삼각형을 놓는다. ③ 작은 삼각형 2개를 붙여서 정사각형을 만든다. ④ 가장 큰 직각삼각형의 밑면에 가운데에 작은 직각삼각형으로 만든 정사각형을 놓는다. ⑤ 3개의 삼각형이 삼각형 지붕이 있는 집 모양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준비물]
활동지, 학용품
[활동팁]
칠교로 만들어진 모양을 보고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절차를 쓸 수 있도록 하고, 2명이서 짝 활동으로 한 명이 모양을 만들고, 다른 친구는 그 모양을 보고 그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절차를 적을 수도 있다.

7-1
자연어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칠교 놀이하기

칠교로 만들어진 모양을 보고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알고리즘을 쓸 수 있다.

(반대 활동) 알고리즘을 보고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보기>
이미지. 칠교 조각 중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로 집 모양을 만든 이미지
① 칠교 조각 중 가장 큰 삼각형 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를 고른다. ② 가장 큰 삼각형의 직각 부분이 맨 위에 오도록 삼각형을 놓는다. ③ 작은 삼각형 2개를 붙여서 정사각형을 만든다. ④ 가장 큰 직각삼각형의 밑면에 가운데에 작은 직각삼각형으로 만든 정사각형을 놓는다. ⑤ 3개의 삼각형이 삼각형 지붕이 있는 집 모양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음 그림을 보고 칠교를 활용해서 그림과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써 보자.
이미지. 칠교 조각 중 작은 삼각형 2개와 정사각형 1개로 직각 삼각형을 만든 이미지

다음 그림을 보고 칠교를 활용해서 그림과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써 보자.
이미지. 칠교 조각 중 큰 삼각형21개와 작은 삼각형 2개로 집 모양을 만든 이미지

다음 그림을 보고 칠교를 활용해서 그림과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써 보자.
이미지. 칠교 조각 중 큰 삼각형 2개, 작은 삼각형 2개, 정삼각형 1개로 다이아몬드 보석 모양을 만든 이미지

더 알아보기

1알고리즘이란 무엇일까?

알고리즘이란 컴퓨터가 따라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나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과정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컴퓨터를 활용한 문제해결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방법 또는 절차이며, 문제해결 방법을 순서대로, 절차대로 나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배우고 있는 SW교육의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말하는 알고리즘은 컴퓨터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이다. 컴퓨터 명령어의 집합으로 나타나는 알고리즘은 컴퓨터과학의 핵심으로, 컴퓨터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즉 정보를 어떻게 입력하고 처리하며 데이터를 표시하는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알고리즘은 컴퓨터에서만 사용할까요?

알고리즘은 컴퓨터에서만 사용하고 우리 생활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행동은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에 가기 위해 행동하는 모든 과정, 라면을 끓이기 과정,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모든 과정에 알고리즘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너무 빠르게 일어나는 과정에서 익숙하고 자연스럽게 여겨지기 때문에 특별한 알고리즘의 절차가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활 속에서 알고리즘을 찾아보고 그 절차를 인식함으로써 생활과 알고리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 자판기 사진과 자판기에서 음료를 꺼내는 방법. 1. 자판기에 동전을 넣습니다. 2. 선택할 수 있는 음료가 자판기에 표시됩니다. 3. 원하는 음료를 선택합니다. 4. 선택한 음료가 나오고 거스름돈이 나옵니다.

[그림] 실생활 속의 알고리즘의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