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micro:bit에 프로그래밍 하기
【활동 하기】
1. makeCode 편집기
2. python 편집기
3. 모바일앱
4. Makecode편집기 실행하기
마이크로비트는 다양한 도구를 통해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교재에서는 첫 번째로 소개되는 Makecode 편집기를 통해 마이크로비트를 제어해 볼 예정이다.
1 MakeCode 편집기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MakeCode편집기를 사용하면 블록과 JavaScript로 마이크로비트를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MakeCode 편집기는 https://makecode.microbit.org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2 Python 편집기
파이썬으로 코드를 구성하여 마이크로비트를 작동할 수 있다. Python 편집기에서 제공되는 코드를 통해 이미지, 사운드를 이용하면 쉽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전세계 공식 Python커뮤니티에 의해 지원된다.https://python.microbit.org

3 모바일 앱
마이크로비트 앱을 통해서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블루투스기능을 통해 무선으로 마이크로비트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윈도우 10 운영체제에서 Makecode편집기를 통해 웹 기반 코드와 아이패드에서 실행되는 Swift를 통해서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4 Makecode 편집기 실행하기
Makecode는 Microsoft사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개발한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대화형 시뮬레이터로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실행 방법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주며 코드를 테스트 하고 디버깅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코딩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자신의 작업 공간에 블록을 끌어 놓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제작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블록들이 준비 되어 있다. 또한 JavaScript편집기를 통해 코드 스니펫, 툴팁 오류감지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① Makecode 편집기 구성 알아보기
Microsoft MakeCode는 Microsoft사의 PXT(Programing Experience Toolkit)중 하나 이다. 실제 프로그래밍과 같은 코드구성을 지원하는 컴퓨터 과학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무료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Makecod는 코딩에 처음 참여한 학생들도 쉽게 자신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명령어를 포함한 여러 가지 색상의 코드블록을 제공하고 있다. 이 블록 중 자신이 원하는 코드에 해당하는 것을 작업공간으로 끌어다 두는 것으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수 있다. 블록으로 코딩하는 것이 익숙해진다면, 코드 조각을 편집하거나 툴팁 및 오류 감지를 통해 모든 기능을 갖춘 JavaScript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코드를 테스트하고 오류가 발견하고 수정을 용이하게 한다.
Makecode 플랫폼을 사용하여 micro:bit, Circruit Playgound Express, Minecraft, LEGO MINDSTORM Education EV3, Cue, Chibi Chip등 다양한 도구에 인터넷브라우저를 통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도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웹 브라우저 주소 창에 https://makecode.microbit.org를 입력하고 접속한다.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Makecode는 쿠키를 저장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예전 접속기록을 기억하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2번 위치는 지난 프로젝트들을 시간 순서대로 기억하여 보여준다.
저장한 파일을 불러오거나 생성한 URL을 통해 스크립트를 불러 올 수 있다.
Makecode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튜토리얼들을 확인할 수 있다.
New Project 버튼을 눌러 직접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프로젝트 페이지로 이동한다.
② 프로젝트 인터페이스 알아보기

Makecode에 처음 접속화면으로 이동한다.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파일 불러오기, 튜토리얼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작성한 스크립트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작성하는 스크립트를 블록형과 JavaScript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JavaScript로 변경한 편집기

블록의 사용방법과 마이크로비트활용에 대한 설명 등 마이크로비트 재단에서 제공하는 지원사항을 확인 할 수 있다.

Makecode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마이크로비트와 똑같이 생긴 대화형 시뮬레이터를 통해 마이크로비트에 프로그램파일을 이동하지 않아도 스크립트 작성과 동시에 실행되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마이크로비트 하드웨어가 없다고 하더라고 스크립트 작성으로 프로그래밍 학습을 할 수 있다.

Makecode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블록들을 모아 둔 곳이다. 원하는 블록을 블록꾸러미에서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블록꾸러미에서 선택한 블록들을 모아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영역이다.
③ MakeCode 기본 사용법
Makecode는 코드를 블록형태로 구성하여 쉽고 편리하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장 기본 활동으로 마이크로비트 스크린에 하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해 보자.
Makecode를 통해 마이크로비트를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순서를 통해야 한다.

먼저 마이크로비트 스크린에 하트를 계속 출력하기 위해서는 블록꾸러미 기본 그룹에 있는 [LED출력] 블록을 스크립트 창의 [무한반복 실행] 블록에 넣는다. 그리고 [LED출력] 블록에서 불이 들어오기 원하는 위치의 LED를 선택하여 클릭한다. 잠시 후 시뮬레이터에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한다.

편집기 왼쪽 하단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작성한 스크립트를 손쉽게 .hex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하기 전 파일명을 정하고 다운로드한다.

마이크로5핀 USB선으로 마이크로비트와 컴퓨터를 연결한다. 마이크로비트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컴퓨터에 microbit라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②에서 저장한 .hex파일을 생성된 microbit폴더로 복사한다.파일이 이동하면서 마이크로비트의 뒷면 LED가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일이 모두 이동하고 나면 마이크로비트가 재시동 되면서 작동한다.


모든 과정에서 스크립트가 완성된 후에는 시뮬레이터를 통한 작동 확인 뿐 아니라 마이크로비트로 직접 작동을 확인해보시길 바란다. 본 교재의 각 단원에서 마이크로비트로 직접 파일을 복사해서 작동시키는 과정은 생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