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꽃길만 걷자

【마인크래프트 활용】


1. 챕터 목표 알아보기

2. 탑 만들기

1이번 챕터에서 배울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챕터에서는 마인크래프트를 메이크 코드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조작하는 기초 조작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메이크 코드는 블록형 언어로 이루어져 있어 레고를 조립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여러분이 직접적으로 조종하게 되는 플레이어라 불리는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특정한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이번 챕터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지나가는 길마다 꽃을 심으며 걸어갈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꽃길을 만들어 보자

활동
1
꽃길 만들기

[활동목표]
메이크 코드를 이용해서 꽃길 만들기
[활동안내]
메이크 코드를 이용해서 꽃길을 만드는 활동이다. 환경(조경) / 색 조화 등과 연관 지어 진행할 수 있다.
[활동]
1.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실행한다.
2.사용할 블록을 알아본다.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이미지. 초원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3.플레이어가 걸어가는 길에 꽃을 심도록 만들어 보자.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이미지. 초원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이미지. 초원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에서 빨간 화살표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을 가리키고있다.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꽃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이 연결되어 있는 블록

[플레이어]의 블록과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블록]의 블록을 조립한다.
이미지. 초원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꽃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꽃에 강조 표시

② 마음에 드는 꽃으로 모양을 바꾸어 준다. (0, 0, 0)이라는 것은 플레이어가 지금 서있는 바로 그 위치를 의미한다.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꽃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다른 꽃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 다른 꽃 블록을 위치(0,0,0)에 놓기 블록이 연결되어 있는 블록. 블록마다 꽃에 강조표시.

③ 꽃의 종류를 다르게 3개 연결해 준다.

이미지. 화면에 꽃이 심어진 스크린샷

④ 주변을 걸어 다녀 보자.
이미지. 키보드 w 자판, a 자판, s 자판, d자판
키로 움직일 수 있다.

4.주변을 꾸밀 수 있는 나무도 선택하여 코딩하도록 해보자.
5.방법에 익숙해지면 자신만의 정원을 예쁘게 만들어 보자.
이미지. 꽃길 만들기 동영상의 스크린샷
[활동팁]

1. 3차원 조작에 다소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충분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기초적인 단계 이므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한 시점 전환, w,a,s,d키를 이용한 캐릭터 움직임 등에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부여한다.
3.마인크래프트에서의 좌표는 학교에서 흔히 배우는 3차원 공간과 좌표 배열이 다르다. 마인크래프트에서의 (x, y, z)는 순서대로 (가로세로, 위아래, 앞뒤)를 나타내므로 학생들이 헷갈리지 않도록 충분한 안내가 필요하다.

활동
2
조망 탑 만들기

[활동목표]
메이크 코드를 이용해서 조망 탑 만들기
[활동안내]
메이크코드를 이용해서 만들어 놓은 꽃길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탑을 만들어 보자.
[활동]
1.사용할 블록을 알아본다.
이미지. 다음 채팅명령어를 입력하면: jump 블록
이미지. 다음 좌표로 텔레포트 위치는(0,0,0) 블록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이미지. 초원블록 위치(0,0,0) 놓기 블록
2.높이 올라가 꽃길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탑을 만들어 보자.
이미지. 다음 채팅명령어를 입력하면: jump 블록 이미지. 다음 좌표로 텔레포트 위치는(0,0,0) 블록
이미지.   다음 좌표로 텔레포트 위치는(0,0,0) 블록에서 빨간 화살표가 다음 채팅명령어를 입력하면: jump 블록을 가리키고있다.
이미지. 다음 채팅명령어를 입력하면 순간이동 블록과 연결된 다음 좌표로 텔레포트 0,10,0 블록

[플레이어]
이미지. 다음 채팅명령어를 입력하면: jump 블록
블록과 [블록]
이미지. 다음 좌표로 텔레포트 위치는(0,0,0) 블록
블록을 조립한다.

채팅 명령어는 ‘순간 이동’으로 입력하고, 텔레포트할 좌표는 (0, 10, 0)으로 바꾸어준다.

이미지. 채팅창에 순간이동이라고 적고 있는 화면의 스크린삿

② 채팅창에 ‘순간 이동’이라고 타이핑해 보자. 플레이어가 높이 10으로 이동하여 떨어지면 성공!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이미지. 초원블록 위치(0,0,0)에 놓기 블록


이미지. 플레이어가 걷고 있으면 실행 블록
블록과
이미지. 초원블록 위치(0,0,0)에 놓기 블록
블록을 가지고 온다.

이미지. 플레이어가 떨어지고 있으면 실행, 초원 블록 위치(0,0,0)에 놓기, 떨어지고와 초원블록 위치에 강조 표시

④ 플레이어가 떨어지고 있을 때 초원블록을 플레이어의 위치(0,0,0)에 놓을 수 있도록 코드를 바꾸어 보자.

이미지.  (0,10,0)의 위치에서 초원 블록이 떨어지고 있는 화면의 스크린샷

⑤ 플레이어가 (0,10,0)의 위치에서 떨어지면서 초원 블록을 쌓은 모습이 보인다.

이미지.  블록을 밟고 점프하고 있는 화면의 스크린샷

⑥ 블록에 가까이 다가가
이미지. 키보드 space 자판
키를 누르면 블록을 밟고 위로 점프할 수 있다.

이미지. 전망대 꼭대기에서 꽃길을 보고 있는 스크린샷

⑦ 전망대 꼭대기까지 올라가 내가 만든 꽃길을 감상해 보자.

4.위에서 내려다 본 꽃길을 살펴보고 부족한 부분을 추가하여 보자.
5.방법에 익숙해지면 조금 더 멋진 조망탑을 만들 방법을 찾아보자..
이미지. 조망탑 만들기 동영상의 스크린샷
[활동팁]

1.마인크래프트에서의 3차원 좌표를 처음 사용하게 된다. 학생들은 보통 z축을 좌표의 끝에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에, 오브젝트를 높이 옮기는 데에 (0,0,10)과 같은 방법을 자주 사용한다. 학생들에게 충분한 안내와 함께 직접 입력하고 조작해보면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다.
2.공중 부양하여 내려다보지 않고, 조망탑을 Space키를 여러 번 눌러 등반토록 하는 것은 Space키가 점프라는 것을 안내해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후 일부 활동에서 점프가 필요한 활동들이 있으므로, 공중부양에 익숙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점프에 숙달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시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