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조건문을 활용한 카드 게임하기

1조건에 따른 게임하기

조건문은 알고리즘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면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말 그대로 여러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명령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조건의 개념을 배움으로써 나중에 언플러그드 활동이 끝난 후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컴퓨팅 사고력이 필요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조건에 따른 게임을 하면서 학생들은 판단력과 순발력을 기를 수 있다.

이미지. 총 10개의 카드에 각각 흰색 배경 고추 1개, 흰색 배경 고구마 2개, 주황 배경 딸기 3개, 주황 배경 사과 4개, 빨강 배경 배 5개, 빨강 배경 수박 6개, 파랑 배경 버섯 7개, 파랑 배경 토마토 8개, 분홍 배경 오이 9개, 분홍 배경 고추 10개가 그려져 있다.

위 카드를 조건에 맞춰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조건을 정해야 한다.

카드를 보면 숫자는 1~10까지, 그림은 채소와 과일이 있다. 그리고 카드 색은 4가지 색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만든 카드를 활용해서 서로 비교하면서 재미있게 게임을 할 수 있다.

2조건을 만들어 재미있는 카드 게임하기

[활동목표]
조건에 맞는 카드게임을 할 수 있다.
[활동안내]
이미지. 친구와 함께 조건에 맞는 카드게임을 하는 동영상의 스크린샷
[활동]
이미지. 조건을 정하는 규칙판
이미지. 친구와 함께 조건에 맞는 카드게임을 하는 모습의 그림
[준비물]
카드, 필기구, 공책
[활동팁]
1.카드는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처음 시작할 때는 조건을 하나씩 적용해서 게임을 해보고, 활동이 익숙해지면 추가조건을 추가시켜 재미있게 할 수 있다.
3.카드의 숫자 역시 처음에는 10장 정도로 시작해서 게임이 익숙해지면 카드의 숫자를 늘려서 게임을 즐긴다.

3보조활동

[활동목표]
우리만의 게임카드 만들기
[보조활동]
이미지. 카드 뒷면이 10장 놓여 있는 그림
[준비물]
활동지, 색연필 또는 싸인펜
[활동팁]
게임의 조건을 정하면 그에 맞는 카드가 필요하다. 이때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9-1
게임카드 만들기

게임을 하기 위한 우리만의 게임카드를 만들어 보자.

이미지. 카드 뒷면이 15장 놓여 있는 그림

더 알아보기

1선택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선택 구조란 조건을 확인하여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제어 구조를 말한다. 조건이 참일 때만 해당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와 참과 거짓일 때 각기 다른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중 선택문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아래 예1의 경우 순서도에서처럼 조건이 참인 경우 ‘명령1’을 실행하며, 거짓인 경우 ‘명령2’를 실행한다. 예2의 경우 조건이 참인 경우 ‘명령1’을 실행한 뒤 ‘명령3’을 실행하며, 거짓인 경우 ‘명령2’를 실행 후 ‘명령3’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미지.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조건에 따라 참이면 명령 1, 명령 2 순서로 실행되며 거짓이면 명령 2 순서로 이동한 다음 실행한다.
예1)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이미지.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조건에 따라 참이면 명령 1, 명령 3 순서로 실행되며 거짓이면 명령 2, 명령 3 순서로 실행한다.
예2)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2선택구조 익히기

다음은 조건을 만족하는 도형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조건을 잘 살펴보고, 가, 나, 다에 각각 해당하는 도형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미션 활동: 조건을 충족하는 도형 찾기

이미지. 조건을 충족하는 도형 찾기 순서도. '네 변의 길이가 같은가?' 조건에서 '아니요'일 경우 '가'도형, '네'일 경우 '네 각의 크기가 같은가?' 조건에서 '네'일 경우 '나'도형, '아니요'일 경우 '다'도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