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리포트

미국 내 진로교육 최근 동향 및 시책

 

이정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박사과정

 

진로교육은 개인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중시하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으로 평생학습 관점에서 모 든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추구하는 것 이다. 미국에서는 진로교육의 목적이 전환교육(Transition planning)이라는 큰 틀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법이 제정된 1990 년대부터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최근 설문조사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 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은 또래들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 고용, 그리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확률이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Newman et al., 2011).

그림1, 한눈으로 보는 진로교육 도표

전문가들은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 보다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른 시기부터 전환교육이 필요하다 고 주장한다. IDEA 법은 명시하기를 "16세 또는 개별화교육 팀이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그보다 어린 연령"에 전환교육 을 시작하는 것을 의무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주마다 14세 또는 그 이전부터 전환교육을 실시할 것을 명시하였다. 흔히들 고등학교 과정에서만 진로교육을 중점적으로 실행하 는 것으로 생각하나, 이른 시기부터 시작한 진로교육이 더욱 효과적임이 증명된 바 있다.

 

1. 전환교육 틀(framework)

여러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효과적인 전환교육을 위해서 는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는 학생중심 계획, 학생능력 발달, 협력적 서비스 제공, 가족 참여, 그리고 프로그램 구조 및 관련요소 등이 있다 (Kohler & Field, 2003).

학생중심 계획 : 학생 중심의 계획은 관련 정보를 기반한 학생목표 설정, 계획 및 결정과정에서의 학생 참여, 그리고 학생발달 평가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학생중심의 계획을 바탕으로 한 교육적 결정은 학생들의 목표, 비전, 그리고 흥미에 기 반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환교육계획은 여러 관련 전문가들 이 함께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자기결정 기술들을 훈련하고 발달시킬 수 있다. 전환교육 과정에 보다 효과적으로 학 생 참여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자기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모델(the Self-Directed IEP Model)이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옹호 전략들 (정보 목록 제시, 질문하기, 개별화교육계획안 목표 요약하기)을 배 우고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시 보다 올바른 목표들을 설정하고 보다 많은 정보들을 제공하도록 도와준다.

학생능력 발달 : 학생능력 발달은 학교 및 업무 중심의 학습 경험 들을 통해 일상생활, 고용, 그리고 직업상의 기술 발달이 강조되며, 학생 평가 및 조정을 포함한다. 특히 학생들이 최대한 자기결정 기 술, 학업적·사회적·직업적 기술, 업무 관련 행동들을 배우고 이 를 다양한 환경에서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경험들이 학교 기반 및 지역사회 기반의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이 과정을 통 해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교육적 및 지역사회 환경에 참여하는데 필 요한 조정 및 지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Next S.T.E.P. 교육과정 (Halpern et al., 1997)은 교사 및 학생 시연, 분야 관련 실습활동 등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보다 전환교육에 참여할 수 있 도록 하는 중재이다.

협력적 서비스 제공 : 협력적인 서비스 제공은 지역사회기관, 조직, 정부기관들이 함께 전환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각 기관들의 역할, 책임, 소통,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개발 등을 명확히 함으로써 지 역사회 구성원들에게 평생학습과 지원요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범주는 개별적 수준의 계획, 내부기관적인 구조, 협력적인 서비스 전달, 기관수준에서의 계획,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등을 포함한다.

가족 참여 : 여러 전문가들은 가족구성원 참여가 전환교육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들은 가족이 전환교육 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결정 기술 증진 및 고등교육 출석 률 및 평가점수를 높이고, 중퇴 비율을 낮춘다고 보고한다. 이는 가 족훈련, 가족포함, 그리고 가족권한 여부전략을 포함한다. 또한 가 족 구성원이 전환 계획 전략들을 사용할 때 학생들과 부모들이 모 두 개별화교육계획안 전환교육 목표설정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들은 보다 효과적인 전환교육 참여를 위해서 여러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정보자료 제 공, 교직원, 부모 및 학생의 공동 직업재활 트레이닝, 관련 자료 박 람회, 진로교육전문가 상담, 그리고 자조모임 및 네트워크 기회 제 공 등이 있다.

프로그램 구조 및 관련요소 :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프 로그램 철학, 프로그램 정책, 전략적 계획, 프로그램 평가, 자원할 당,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나 프로그램은 보다 확장된 교육과정 선택권, 명확한 목표, 자격을 갖춘 직원, 그리 고 충분한 자원 등을 통해 보다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2. 실제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및 방법

1) 초등학교 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는 진로교육 중에서도 가장 기초 가 되는 자기결정 기술 및 진로인식을 지도할 수 있다 (Papay, Unger, Williams-Diehm, & Mitchell, 2015). 이러 한 기술들은 일생 동안 지속되는 과정으로 이른 시기에 시작 해야 하며, 동시에 초등학교 교사들은 장애학생 가족들과 관 계를 형성하고 진로 준비 과정에 대해 교육해야 할 역할을 지 니고 있다. 다음 표의 두 가지 전략들의 예시를 보면, 교사들 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자기결정 전략들을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다. 이외에도 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직업의 날,직업관련 기초기술 교수, 교실내 규칙 제시 등을 통해 진로교 육을 지도할 수 있다.

<표 1> 자기결정전략교수

전략 활동내용 필수요소 저기능 수정 고기능 수정
자기결정
기술 확인
자기결정 게임은 여러 질문들을
통해 가상의 상황에서 "만약에"
본인이라면 어떤 답을 내릴지
이야기하는 활동
자기조절
자기효능
자기이해
의사소통장치를 이용하거나
그림교환 체계를 통해
역할/책임 등을 이야기 나눔
협동학습 그룹
또는
자기 결정 게임 시
리더 역할을 함
학생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학생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미팅에서 자연스 럽게 자기결정을
배울 수 있음.
학생들은 짧은 파워포인트 또는
앱을 이용하여 목표 등을 발표함.
자기효능
내적통제
목표설정
다음의 질문을 준비함.
(a) 현재수행수준
(b) 목표 (c) 이를 위한 내 노력
(d) 선생님
으로부터 필요한 지원
(e) 부모로부터 필요한 지원
전체 미팅을
주도하게 끔
발표를 준비함

 

2) 중·고등학교 과정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연계시켜 중·고등학교 과정 에서는 본격적으로 진로탐색, 진로준비를 하는 과정으로 개 별화교육계획안에 기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진로교육을 제 공한다. 미네소타주 교육부에서 제공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다음의 그림을 보면 개별화교육계획안에 어 떻게 진로교육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학생의 현재 수행수준 및 연간 목표, 그리고 교육서비스 등이 개별화교육 계획안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측정 가능한 졸 업 이후 목표들을 서술할 때, 대표적인 잘못된 예시로 "졸업 후, 나는 농구 선수가 될 것이다"가 있다. 농구선수가 될 자질 이 분명히 있는 학생이 아닌 이상 목표는 학생의 현행 수준과 연령에 맞게 바꿔야 하는데, 올바른 예시로는 "졸업 후, 나는 4년제 대학에 진학하여 농구선수로의 진로 탐색을 위해 대학 내 농구팀에 참여할 것이다."로 수정할 수 있다.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및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파트너들의 역할도 중요시된다. 이는 아래의 진로 교육 서비스 영역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진로교육은 단순히 학교에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관의 협력을 요구 한다.

학업적 및 기능적 현재 수행 수준, 목표 및 발달 측정

 

3. 진로교육 제공 관련 문제점

이러한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현직 교사와의 인터뷰 및 기존 연구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교육을 실시할 때 몇 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 첫째로, 기관 간의 협력이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시 직업재활 관 련 또는 다른 기관에서 참여하는 비율이 낮았다 (Trainor, Morningstar, & Murray, 2016). 또한 33% 정도의 학부 모들은 개별화교육계획안 및 전환교육과정에 있어 생각만큼 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18% 의 장애학생들은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그들의 전환교육 목 표와 잘 맞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관련 전문가들은 이러 한 문제점들을 안고, 또다른 서류 작업이 아닌, 보다 의미 있 는 진로교육을 제공하도록 끊임없는 노력해야 할 것을 피력 하였다.

 

* 참고문헌

· Johnson, D. R., Stodden, R. A., Emanuel, E. J., Luecking, R., & Mack, M. (2002). Current challenges facing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What research tells us. Exceptional Children, 68(4), 519-531.
· Kohler, P. D., & Field, S. (2003). Transition-focused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futur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7(3), 174-183.
·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A guild to preparing your child with a disability for life beyond high school. Pacer Center: MN.
· Papay, C., Unger, D. D., Williams-Diehm, K., & Mitchell, V. (2015). Begin with the end in mind: Infusing transition planning and instruction into elementary classroom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7(6), 310-318.
· Trainor, A. A., Morningstar, M. E., & Murray, A. (2016).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lanning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9(2), 113-124.

 

 

 

 

다른 월드리포트 보기

- 미국 내 지적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대안평가 실태

- 독일 특수교육지원 중점영역- 지적 장애에서의 학습능력 평가 방법

- 일본의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방법

 

 


현장특수교육 2호 제24권

  • 01 프롤로그
  • 02 오픈컬럼
  • 03 모두가 행복한 수업
  • 04 화제의 특수교사
  • 05 현장투어
  • 06 돋보기
  • 07 톡톡Talk
  • 08 스페셜테마
  • 09 차 한 잔을 마시며
  • 10 월드리포트
  • 11 특수교육 동정
  • 12 미래를 꿈꾸며
  • 13 스토리+
  • 14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