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박사과정
진로교육은 개인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중시하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으로 평생학습 관점에서 모
든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추구하는 것
이다. 미국에서는 진로교육의 목적이 전환교육(Transition
planning)이라는 큰 틀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법이 제정된 1990
년대부터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최근 설문조사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 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은 또래들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 고용, 그리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확률이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Newman et al., 2011).
전문가들은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 보다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른 시기부터 전환교육이 필요하다
고 주장한다. IDEA 법은 명시하기를 "16세 또는 개별화교육
팀이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그보다 어린 연령"에 전환교육
을 시작하는 것을 의무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주마다
14세 또는 그 이전부터 전환교육을 실시할 것을 명시하였다.
흔히들 고등학교 과정에서만 진로교육을 중점적으로 실행하
는 것으로 생각하나, 이른 시기부터 시작한 진로교육이 더욱
효과적임이 증명된 바 있다.
1. 전환교육 틀(framework)
여러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효과적인 전환교육을 위해서
는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는 학생중심 계획, 학생능력 발달, 협력적 서비스 제공, 가족
참여, 그리고 프로그램 구조 및 관련요소 등이 있다 (Kohler
& Field, 2003).
학생중심 계획 : 학생 중심의 계획은 관련 정보를 기반한 학생목표
설정, 계획 및 결정과정에서의 학생 참여, 그리고 학생발달 평가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학생중심의 계획을
바탕으로 한 교육적 결정은 학생들의 목표, 비전, 그리고 흥미에 기
반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환교육계획은 여러 관련 전문가들
이 함께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자기결정 기술들을
훈련하고 발달시킬 수 있다. 전환교육 과정에 보다 효과적으로 학
생 참여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자기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모델(the
Self-Directed IEP Model)이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옹호 전략들
(정보 목록 제시, 질문하기, 개별화교육계획안 목표 요약하기)을 배
우고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시 보다 올바른 목표들을 설정하고 보다
많은 정보들을 제공하도록 도와준다.
학생능력 발달 : 학생능력 발달은 학교 및 업무 중심의 학습 경험
들을 통해 일상생활, 고용, 그리고 직업상의 기술 발달이 강조되며,
학생 평가 및 조정을 포함한다. 특히 학생들이 최대한 자기결정 기
술, 학업적·사회적·직업적 기술, 업무 관련 행동들을 배우고 이
를 다양한 환경에서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경험들이 학교
기반 및 지역사회 기반의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이 과정을 통
해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교육적 및 지역사회 환경에 참여하는데 필
요한 조정 및 지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Next S.T.E.P.
교육과정 (Halpern et al., 1997)은 교사 및 학생 시연, 분야 관련
실습활동 등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보다 전환교육에 참여할 수 있
도록 하는 중재이다.
협력적 서비스 제공 : 협력적인 서비스 제공은 지역사회기관, 조직,
정부기관들이 함께 전환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각 기관들의 역할,
책임, 소통,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개발 등을 명확히 함으로써 지
역사회 구성원들에게 평생학습과 지원요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범주는 개별적 수준의 계획, 내부기관적인 구조, 협력적인 서비스
전달, 기관수준에서의 계획,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등을 포함한다.
가족 참여 : 여러 전문가들은 가족구성원 참여가 전환교육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들은 가족이 전환교육
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결정 기술 증진 및 고등교육 출석
률 및 평가점수를 높이고, 중퇴 비율을 낮춘다고 보고한다. 이는 가
족훈련, 가족포함, 그리고 가족권한 여부전략을 포함한다. 또한 가
족 구성원이 전환 계획 전략들을 사용할 때 학생들과 부모들이 모
두 개별화교육계획안 전환교육 목표설정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들은 보다 효과적인 전환교육
참여를 위해서 여러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정보자료 제
공, 교직원, 부모 및 학생의 공동 직업재활 트레이닝, 관련 자료 박
람회, 진로교육전문가 상담, 그리고 자조모임 및 네트워크 기회 제
공 등이 있다.
프로그램 구조 및 관련요소 :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프
로그램 철학, 프로그램 정책, 전략적 계획, 프로그램 평가, 자원할
당,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나 프로그램은
보다 확장된 교육과정 선택권, 명확한 목표, 자격을 갖춘 직원, 그리
고 충분한 자원 등을 통해 보다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2. 실제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및 방법
1) 초등학교 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는 진로교육 중에서도 가장 기초
가 되는 자기결정 기술 및 진로인식을 지도할 수 있다 (Papay,
Unger, Williams-Diehm, & Mitchell, 2015). 이러
한 기술들은 일생 동안 지속되는 과정으로 이른 시기에 시작
해야 하며, 동시에 초등학교 교사들은 장애학생 가족들과 관
계를 형성하고 진로 준비 과정에 대해 교육해야 할 역할을 지
니고 있다. 다음 표의 두 가지 전략들의 예시를 보면, 교사들
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자기결정 전략들을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다. 이외에도 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직업의 날,직업관련 기초기술 교수, 교실내 규칙 제시 등을 통해 진로교
육을 지도할 수 있다.
<표 1> 자기결정전략교수
전략 |
활동내용 |
필수요소 |
저기능 수정 |
고기능 수정 |
자기결정
기술 확인 |
자기결정 게임은 여러 질문들을
통해 가상의
상황에서 "만약에"
본인이라면 어떤 답을
내릴지
이야기하는 활동 |
자기조절
자기효능
자기이해 |
의사소통장치를 이용하거나
그림교환
체계를 통해
역할/책임 등을 이야기 나눔 |
협동학습 그룹
또는
자기
결정
게임 시
리더 역할을 함 |
학생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
학생주도 개별화교육계획
미팅에서 자연스
럽게 자기결정을
배울 수 있음.
학생들은
짧은 파워포인트 또는
앱을 이용하여 목표
등을 발표함. |
자기효능
내적통제
목표설정 |
다음의 질문을 준비함.
(a) 현재수행수준
(b) 목표 (c) 이를 위한 내 노력
(d) 선생님
으로부터 필요한 지원
(e) 부모로부터
필요한 지원 |
전체 미팅을
주도하게
끔
발표를 준비함 |
2) 중·고등학교 과정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연계시켜 중·고등학교 과정
에서는 본격적으로 진로탐색, 진로준비를 하는 과정으로 개
별화교육계획안에 기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진로교육을 제
공한다. 미네소타주 교육부에서 제공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다음의 그림을 보면 개별화교육계획안에 어
떻게 진로교육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학생의 현재
수행수준 및 연간 목표, 그리고 교육서비스 등이 개별화교육
계획안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측정 가능한 졸
업 이후 목표들을 서술할 때, 대표적인 잘못된 예시로 "졸업
후, 나는 농구 선수가 될 것이다"가 있다. 농구선수가 될 자질
이 분명히 있는 학생이 아닌 이상 목표는 학생의 현행 수준과
연령에 맞게 바꿔야 하는데, 올바른 예시로는 "졸업 후, 나는
4년제 대학에 진학하여 농구선수로의 진로 탐색을 위해 대학
내 농구팀에 참여할 것이다."로 수정할 수 있다.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및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파트너들의 역할도 중요시된다. 이는 아래의 진로
교육 서비스 영역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진로교육은 단순히 학교에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관의 협력을 요구
한다.
3. 진로교육 제공 관련 문제점
이러한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현직 교사와의 인터뷰
및 기존 연구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교육을 실시할 때
몇 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 첫째로, 기관 간의 협력이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개별화교육계획 미팅 시 직업재활 관
련 또는 다른 기관에서 참여하는 비율이 낮았다 (Trainor,
Morningstar, & Murray, 2016). 또한 33% 정도의 학부
모들은 개별화교육계획안 및 전환교육과정에 있어 생각만큼
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18%
의 장애학생들은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그들의 전환교육 목
표와 잘 맞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관련 전문가들은 이러
한 문제점들을 안고, 또다른 서류 작업이 아닌, 보다 의미 있
는 진로교육을 제공하도록 끊임없는 노력해야 할 것을 피력
하였다.
* 참고문헌
· Johnson, D. R., Stodden, R. A., Emanuel, E. J., Luecking, R., & Mack,
M. (2002). Current challenges facing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What research tells us. Exceptional Children, 68(4),
519-531.
· Kohler, P. D., & Field, S. (2003). Transition-focused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futur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7(3), 174-183.
·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A guild to preparing
your child with a disability for life beyond high school. Pacer Center:
MN.
· Papay, C., Unger, D. D., Williams-Diehm, K., & Mitchell, V. (2015). Begin
with the end in mind: Infusing transition planning and instruction
into elementary classroom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7(6),
310-318.
· Trainor, A. A., Morningstar, M. E., & Murray, A. (2016).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lanning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9(2), 113-124.
다른 월드리포트 보기
- 미국 내 지적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대안평가 실태
- 독일 특수교육지원 중점영역- 지적 장애에서의 학습능력 평가 방법
- 일본의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