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행복한 수업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수업 개선

박계숙 전주은화학교 교사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수업 접근

보편적 학습설계의 가장 중요한 원리는 학습을 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장애물들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등 모든 영역(CAST, 2008)에 있어서 학생들이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있다면 이를 줄이기 위해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보편적 학습설계의 가장 큰 원리라고 할 수 있다(노석준, 2006; 박주연, 2008). 즉, 보편적 학습설계는 다양하고 복잡한 학습상황에서 다양한 배경과 학습양식, 학습능력 그리고 장애를 가졌거나 불편함을 가진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에 쉽게 접근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 목표, 방법, 자료, 평가를 포함하는 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보편적 학습설계를 완전통합 측면에서 살펴보면 특수학교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견해를 가진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습자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수업에 필요한 자료나 보조공학,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매체, 제한된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하면 학교 현장에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초한 교수학습은 장애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및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권효진, 2012; 박계숙, 2013; 박주연, 2008; 신형석, 2009; 유선해, 2010).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내용

국립특수교육원(2006)에서 제시한 특수학교에서의 수업설계 방법 및 내용을 살펴보면 교수내용은 학생의 특별한 욕구에 부합하기 위해 학교에서 공통으로 적용하는 교육과정 내용을 보완하여 첨가하거나 기초적인 내용과 수행수준에 맞게 대체하여 학습내용을 구성하고 수업을 계획한다. 교수방법은 독립적인 학습능력을 키우기 위한 전략, 새로운 상황에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장애영역에 따라 부가적인 기술을 보완하거나 내용 제시의 방법이나 반응 방법을 수정하여 제시한다. 평가는 학생의 장애영역에 맞게 내용 제시의 방법이나 반응 방법을 수정하여 제시한다.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 설계에 의한 수업 개선 사례

 

1)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의한 미술 감상수업 적용 내용

보편적 학습 설계에 의한 시각장애 학교에서의 미술 감상수업 개선 사례는 다음과 같다.

 

<표 1>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의한 미술 감상수업 적용 내용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원리의 수업 적용 구체적인 적용 내용
공평한 사용 ·모든 학생들이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수법
·개인차를 고려한 차별화 학습
·모든 학생들이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품 감상활동 수업을 설계
사용 시 융통성 ·개인의 선호도와 능력을 수용한 다양한 교수방법 제공
·반응중심 학습법
·협동학습 및 작업
·수업형태(짝 활동, 개별, 소집단)
·광범위한 개인의 능력과 선호도를 수용하기 위해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설계
·회화 작품을 입체 복사하고, 학생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감상할 수 있도록 다감적적인 자료와 감상활동 후 표현의 복잡성이 조절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검토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학습자 개개인의 경험이나 지식, 능력 등에 상관없이 직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자료 제공
·단순하고 쉬운 자료 제공
·회화 작품 감상활동 수업을 시각장애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감각적인 자료 제시
·시각장애학생들이 감상 작품을 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복잡한 부분은 제거하고 간단하게 학습 자료를 제시
인식 가능한 정보 ·사용자의 지각 능력에 상관없이 다양한 양식 (그림, 언어, 촉각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효과적으로 전달)
·다감각 자료 제시
·시각장애학생들이 다양한 감각(촉각, 청각)을 이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회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감상 작품 제공 (실물이나 청각 및 촉각자료, 점자자료)
오류에 대한 포용 ·효과적인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 적용 ·회화 작품 감상 수업에 불필요한 장애를 제거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
·작품 감상 방법 및 감상에 필요한 배경지식이나 예를 제공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 ·학습을 위한 적절한 환경 제공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을 포함한 수업 진행 장소
·사회 심리적 환경
·미술 감상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장소 제공(미술실)
·저시력 학생을 위한 자리 배치
·감상활동에 방해를 주는 요소 최소화

 

2)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 설계

 

<표 2>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초한 미술 감상수업 설계

구분단계교수·학습활동보편적 학습설계 원리
도입(5분) 반응형성 ·수업 과정에 대한 안내와 반응 형성 단계
시각적 대상이나 현상을 탐색하면서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선지식을 자극하여 반응 형성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작품 감상 자료의 구성에 대한 설명 및 감상 방법에 대한 안내
전개(20분) 반응 명료화(10분) · 반응 명료화 단계이다.
- 형성된 반응을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질문이나 토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응을 명료화한다.
·음성적 지원과 점자설명 자료를 통하여 얻은 작품에 대한 설명의 정보와 스스로 탐색한 작품 정보에 대한 개인의 느낌과 비교해 본다.
·학생이 선호하는 감각을 활용하여 활동한다.
·모든 학생의 다양한 표현 방법 제시
(질문과 응답 및 다양한 의사 표현방법 허용)
·모든 학생의 수업 참여방법 제시(자료선택: 음성자료, 점자설명 자료 및 선호하는 감상 방법 및 감각 사용
반응심화(10분) ·반응 심화 단계이다.
- 관련 작품을 탐색하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대상이나 현상을 재 파악하는 과정으로, 표현활동과 연계하여 반응을 심화한다.
- 작품 감상 시간 등을 통해 교사나 학생 상호간에 피드백을 주도록 한다.
-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을 탐색한다.
·모든 학생의 차별화에 의한 설명적 방법제시
(언어적 표현 방법 및 학생이 이해 가능한 설명 방법 사용)
·모든 학생의 수업참여 방법 제시
(개별적, 짝과 함께, 교사의 지원)
정리(15분) 정리

발전
(15분)
·정리 및 발전 단계이다.
- 반응의 내면화 과정이며, 학습자의 미술적 반응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단계로
미적 체험의 확대와 심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한다.
- 감상 느낌의 표현에 대한 지원을 통해 교사와 학생상호 간에 의견을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한다. 서로의 의견 차이에 대한 이해와 발전적 사고에 대한 격려로 진행되어야 한다.
·모든 학생의 수업 참여 방법 제시 (모든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구조화, 피드백을 통한 자기 의견과 타인 의견에 대한 차이 수용 및 이해)

 

3)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수업 내용

감상시간은 학생들의 시각장애 상태와 수준에 따라 보조적으로 본 교사가 작품 감상용 입체자료를 만들어 제공하였으며 감상지도는 학생들의 일상용어에 맞게 생활과 연관 지어 설명 후 서로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매우 단순하고 단편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전체적인 질문과 대답으로 이끌며, 점자자료를 통한 작품설명과 감상방법을 통해 관찰하고, 느낌을 발표하게 하였다. 또한 작품에 대하여 매우 단순한 언어일지라도 학생들 스스로 자기 느낌과 생각을 가지고 감상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자신이 이해하고 느끼는 내용을 발표를 통해 이야기 하게 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 활동 지도안(박계숙, 2013)은 다음과 같다.

 

4) 미술 감상을 위한 입체 감상 작품 제작과정

모든 시각 장애 학생이 미술 감상 수업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각외의 청각, 촉각을 사용하여 감상할 수 있는 자료를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표 3>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 활동 지도안 예시

단원 색과 생활 회기 2회기 수업 모형 반응 중심 학습 모형
학습 주제 ‘다발/휴식’ 작품 감상하기 학습자료 점자와 음성으로 설명된 입체 작품 자료,
작품 설명자료, 교과서, 지도서
학습 목표 ·‘다발/휴식’ 입체 작품을 감상하고 두 작품을 비교하며 느낌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
작품명 및 작품설명 교과서 작품 입체 복사된 작품 점자 및 음성자료
(색종이/294x350cm/1953년작)
마티스 (Matisse, Henri/ 1869~1954/프랑스)
(유채/33x21cm/1960년 작)
박수근(1914~1965/한국)

교과서작품

입체 복사된 작품

점자 및 음성자료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활동
도입(5분) 반응 형성 ·‘다발/휴식’ 작품을 살펴본다.
·작품을 처음 만져보고 선과 면 그리고 점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목표를 확인한다.
‘다발/휴식’ 입체작품 감상하고 두 작품을 비교하며 느낌을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개(20분) 반응 명료화




반응 심화
‘다발/휴식’ 작품을 감상한다.
·입체작품 만져보고 ‘다발’ 작품의 특징을 살펴본다.
·작품설명 및 음성자료를 듣고 내가 감상한 내용과 비교하며 살펴본다.
·‘휴식’ 작품을 감상하며 ‘다발’ 작품과 비교하며 관찰한다.
·두 작품을 감상하며 느낀 점을 이야기한다.
·두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며 작품을 감상한다.
·두 작품을 손으로 감상할 때와 작품 설명을 듣고 감상할 때 다른 점을 알아보고 느껴지는 느낌을 이야기 한다.
정리(15분) 정리 및 발전 ·평가 및 정리한다.
‘다발/휴식’ 작품을 비교하며 감상하고 느낀 점에 대해 서로 이야기한다
·정리 및 회기 예고를 한다.
‘다발/휴식’ 작품의 다른 점을 발표해 본다.
·감상활동을 통해 새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하여 말한다.
·다음활동을 안내한다.

 

<그림 1> 보편적 학습 설계에 의한 수업 장면 / 1. 손으로 작품 감상하는 모습 / 2. 점자로 작품설명 읽는 모습 / 3. 음성으로 작품설명 듣는 모습

 

<표 4> 입체감상 작품 제작과정

구분 내용 과정
1 교과서 감상 작품이
잘 보이도록 기름종이를 대고
작품을 본뜬다.

과정1 그림

2 4B연필로 작품을 최대한
똑같이 표현하되
복잡한 선은 생략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그린다.

과정2 그림

3 본뜬 작품을
입체복사지에 복사를 한다.

과정3 그림

4 복사된 입체 복사지를
입체 복사기에 넣고
입체 복사를 한다.

과정4 그림

5 작품에 대한 설명을
묵자와 점자로 점역하여
보이스 카드에 붙인다.

과정5 그림

6 작품에 대한 설명을
보이스 카드에 녹음한다.

과정6 그림

 

5) 장애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다양한 수업 설계

보편적 학습 설계는 최근에 교수·학습 분야에 적용되어 장애학생을 비롯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대안적 교수설계 원리로 제안되고 있고(손지영, 김동일. 2010),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보편적 학습 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 설계를 적용한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대체자료를 고안하고 다감각적 수업설계를 통해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청각장애 학생들은 청각적인 내용을 시각적 요소로 수정 보완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보완자료를 사용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지체장애 학생들은 보조공학기기나 학습 공간 확보 및 작업의 형태를 단순화하고 다양한 접근 방법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기타영역의 장애 학생들도 제한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본 원고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한 선행연구(박계숙. 2013)를 일부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 국립특수교육원(2006). 장애학생의 교육 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과별 수업적용 방법 구안. 경기: 국립특수교육원.
· 권효진(2012).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과학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및 교수·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학생대학교 대학원.
· 노석준(2006). 보편적 학습설계: 교사 전문가들을 위한 지침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박계숙(2013).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태도 및 학습행동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 박주연(2008).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손지영, 김동일(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1(1), 385-411
· 신형석(2009).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과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유선해(2010).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가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 CAST(2008).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 Wakefield, MA: Author.
· CEC(2003). Report from the Commission: Better Lawmaking 2003. Brussels: CEC(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모두가 행복한 수업

보편적 설계와 재구성 : 차별화된 수업을 위한 두 가지 접근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수업 개선

보편적 학습설계를 통한 협력교수


현장특수교육 가을호 제23권

  • 01 프롤로그
  • 02 오픈칼럼
  • 03 모두가 행복한 수업
  • 04 현장투어
  • 05 화제의 특수교사
  • 06 톡톡Talk
  • 07 스페셜테마
  • 08 차 한잔을 마시며
  • 09 월드리포트
  • 10 특수교육 동정
  • 11 여가+
  • 12 미래를 꿈꾸며
  • 13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