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천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차별화된 수업이란?
교육과정이 모든 학습자들에게 동일하게 제공될 때 차별화되지 않는다. 교육과정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것은 특정 학생을 위한 질문의 난이도가 다양하게 구성되거나, 보다 어려운 과제를 제시하거나, 일찍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에게 다른 활동을 제공하는 등과 같은 조정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차별화된 수업(Differentiating Instruction)은 개별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자들이 학습 활동, 내용 요구, 평가 방법, 학습 환경 등을 다양화 하는 과정이다. 차별화 수업을 수행할 때, 교사들은 개별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학습 경험을 다르게 계획한다. 교사들은 개별화된 학습 목표를 개발하고, 교육과정 내용을 규정하고, 학습활동을 구조화하고, 학생들이 목표를 성취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
차별화된 수업을 활용하면, 교사들은 동일한 학급 내에 있는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기능 수준에서 개별 학생을 지도하고, 그에 따라 학습과정에서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성장과 개별적 성공을 최대화할 수 있다. 교사들은 그들의 파트너 교사들에게 교육과정의 적합화와 수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가르침으로써, 특수교사들이 개별화 수업에서 익혀온 훈련, 기능, 지식을 일반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과 지식을 결합되게 한다.
그 외 교원들(다문화 학습자를 가르치는 교사, 읽기 교사, 언어 치료사, 학교 심리학자, 영재학급 교사,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 상담교사 등)은 차별화된 수업 단원을 개발하는데 그들만의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차별화를 위한 두 가지 접근
교사들은 두 가지 주요한 접근을 통하여 수업을 차별화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에서 보는 것처럼, 첫째, 반응에 따른 재구성(Retrofit)과 둘째, 진취적인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이다.
1) 재구성
차별화된 수업에 대한 논의에서 재구성 과정의 통합은 주도적 접근이기보다는 결과에 대한 반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차별화에 관한 모든 개념들과 결합시켜서는 안 된다. 재구성은 교육과정이 잘 활용되지 못할 때, 학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내용을 재개념화 또는 재설계하기보다는 차라리 재구성하도록 결정할 때 일어난다. 즉, 오래된 건물에 휠체어를 탄 사람들이 접근하기 쉽도록 경사로를 설치하는 것과 같다.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방법을 재구성하는 것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장애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하는 노력들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은 학생에게 현재 제공된 프로그램을 맞추기 위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이다. 재구성은 차별화에 관하여 생각하려는 교사들에게 시작을 위한 과정과 위치를 제공하고 있다. 학생을 다른 환경에 보내기보다는 차라리 재구성 접근을 활용하려는 교사들의 결정을 독려한다. 초등, 중등, 고등학교 수업에서 재구성 접근의 활용을 설명하고 있는 글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Thousand 등, 2007, pp.15-34 참고).
<표 1> 차별화된 수업의 두 가지 접근
반응적 재구성 |
진취적인 보편적 학습설계 |
- 내용 요구
- 과정 요구
- 결과 요구
- 학습자에 대한 사실(들)
- 학습자들에 대한 정보들과 학급의 내용, 과정, 결과 요구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불일치를 발견하고 차별화된 수업을 사용
|
-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
- 설계를 위해 차별화된 수업을 사용
- 내용 요구
- 결과 요구
- 과정 요구
|
출처 : Thousand, J. S., Villa, R. A., & Nevin, A. I. (Eds.). (2007). Differentiating instruction: Collaborative planning and teaching for universally designed learning.
Corwin Press. p. 10에서 인용.
2) 보편적 학습설계
차별화 수업(Differentiating Instruction)은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로 접근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 설계는 부가적 비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이,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상품, 의사소통, 물리적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려는 건축가들, 상품설계자들, 엔지니어, 환경 설계 연구자들로부터 개발되고 활용된 보편적 설계 원리들을 교육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보편적 학습 설계는 특별한 교육과정 또는 개인을 위해 수정에 대한 요구를 최소화하는 차별화 학습 경험의 창출에 대해 언급할 때 사용된다(Meyer & Rose, 2002; Udvari-Solner, 1996). 매일 학급에 들어오는 학생들의 준비도, 다른 흥미, 다양한 학습 양식의 독특한 수준으로 인해, Tomlinson(1999)은 장애학생, 부적응학생, 영재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평균적 학생”을 위해 의미 있고 효과적인 차별화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 수업 실행, 평가를 설계함으로써 수업에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Hall(2002)에 따르면, 차별화 수업을 활용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 지식, 준비도 수준, 언어 기능, 학습 선호도, 흥미에 수용적으로 인식하고 반응한다. 보편적 학습 설계 접근의 활용은 교육과정의 수정 없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자재와 환경을 구성하고 설계한다.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for Applied Special Technology(CAST))에서 개발하고 Wisconsin대학의 Udvari-Solner(1996)로부터 교사 교육을 위해 제공된 단계별 과정은 모든 학생에게 자료 제시의 다중적 수단, 참여의 다중적 방법, 그리고 표현의 다중적 방안들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편적 학습 설계 원리들을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보편적 설계 접근을 시도할 때, 교사들은 학생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3단계 교육과정 접근 관점 즉, 내용, 과정, 결과에 관해 생각해야 한다(Tomlinson, 1999).
내용 접근 설계 관점은 무엇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알고, 할 수 있기를 원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내용 설계 관점에서 접근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때 시작과 끝의 지점에서 내용 성취 수준을 유지해야만 한다. 내용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에게 내용을 소개할 적절한 도입 지점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교사들은 교과목간에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을 고려하거나 교육과정의 부분으로 책무성, 중재, 자기 결정의 교수를 포함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결과 접근 설계 관점은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표현하는 방법과 그들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시점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 선호도가 그들이 학습한 것과 진실한 사정 접근에 따라 표준화 사정을 늘릴 수 있는 방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지를 고려해야 한다.
과정 접근 설계 관점은 학생들이 그들이 배우고 있는 것에 대해 이해를 갖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교사들은 공학기술과 동료 중재 수업 접근이 수업 속에 통합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보는바와 같이, 차별화된 수업을 위한 두 가지 접근 즉, 재구성과 보편적 학습 설계 접근 사이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본적이고 가장 현저한 차이점은 재구성 과정은 수업 계획이 이미 완성되고 수업이 진행된 후에 시작된다는 것이다. 반면, 보편적 학습 설계는 학습자에 관한 사실을 가지고 시작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맞도록 내용, 과정, 결과를 설계함으로써 재구정의 요구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계획 단계는 교사들이 학생을 알아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적극적인 집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의 증가된 유동성에 따라 교사들은 1년 내내 새로운 학생을 알아가야 할 것이다. 때문에 학생을 알기 위한 지속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교사들이 차별화된 수업을 위해 보편적 학습 설계를 활용할 때, 그들의 교육과정이 다양한 학급 구성원의 개별 학생 요구에 기반하여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교육과정은 일상적인 물리적, 정서적 또는 인지적 장벽을 극복하거나 특정 집단으로 명칭붙임 없이, 또한 다른 학생들로부터 고립됨 없이 자신들의 능력과 강점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에 의미 있는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과목을 제시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보편적 학습 설계에 따라, 교사들은 신체적, 감각적, 그리고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들도 다른 학생들과 같은 단원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교사의 관점에서 보면, 적합화가 이루어진 교육과정을 가지는 것은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적합화 또는 교수적 수정이 교사들에게 제공되지 않았을 때,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 보다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또는 모든 과목을 스스로 적합화함으로써 재수정을 위해 재분류하여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차별화된 수업을 위한 보편적 수업설계를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 Thousand, J. S., Villa, R. A., & Nevin, A. I.(Eds.).(2007). Differentiating instruction: Collaborative planning and teaching for universally designed learning. Corwin Press.
· Meyer, A., & Rose, D.(2002, December). Universal design for individual differences. Educational Leardership, 58(3), 39-43.
· Udvari-Solner, A. (1996). Examining teacher thinking: Constructing a process to design curricular adaptation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7(4), 245-254.
· Tomlinson, C. A.(1999).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Responding to the needs of all leaner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Hall, T.(2002). Differentiatied instruction. CAST: National Center on Accessing the General Curriculum: Effective classroom practices report. Retrieved June 5, 2006, from http://www.cast.org/ncac/index.cfm?i=2876
모두가 행복한 수업
보편적 설계와 재구성 : 차별화된 수업을 위한 두 가지 접근
특수학교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수업 개선
보편적 학습설계를 통한 협력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