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왕 찾기 게임

【언플러그드 활동】


1. 왕을 찾아라

2. 물건을 찾아라

1선택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가. 선택구조

선택 구조란 조건을 확인하여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제어 구조를 말한다. 조건이 참일 때만 해당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와 참과 거짓일 때 각기 다른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중 선택문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 05]의 순서도에서처럼 조건이 참인 경우 ‘명령 1’을 실행하며, 거짓인 경우 ‘명령 2’를 실행한다. [그림 06]의 예시는 조건이 참인 경우 ‘명령 1’을 실행한 뒤 ‘명령 3’을 실행하며, 거짓인 경우 ‘명령 2’를 실행 후 ‘명령 3’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미지.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조건에 따라 참이면 명령 1, 명령 2 순서로 실행되며 거짓이면 명령 2 순서로 이동한 다음 실행한다.
[그림 05]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예시1
이미지.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조건에 따라 참이면 명령 1, 명령 3 순서로 실행되며 거짓이면 명령 2, 명령 3 순서로 실행한다.
[그림 06] 순서도에서의 선택 구조 예시2

나. 선택 구조 익히기

다음은 조건을 만족하는 도형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조건을 잘 살펴보고, 가, 나, 다에 각각 해당하는 도형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미션 활동: 조건을 충족하는 도형 찾기

이미지. 조건을 충족하는 도형 찾기 순서도. '네 변의 길이가 같은가?' 조건에서 '아니요'일 경우 '가'도형, '네'일 경우 '네 각의 크기가 같은가?' 조건에서 '네'일 경우 '나'도형, '아니요'일 경우 '다'도형이 된다.

다음 빈칸을 채워 보자.

(문제 1)
네 변의 길이가 같은가? ---> 네 (만족)
네 각의 크기가 같은가? ---> 네 (만족)
나:                  
(문제 2)
네 변의 길이가 같은가? ---> 네 (만족)
네 각의 크기가 같은가? ---> 아니오 (불만족)
다:                  
(문제 3)
네 변의 길이가 같은가? ---> 아니오 (불만족)
가:                  

2왕 찾기 게임을 체험해 보자

활동
1
왕 찾기 게임하기

[활동목표]
왕 찾기 게임을 통해 선택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활동안내]
목격자의 진술에 따라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왕을 찾아내는 게임 활동을 통해 선택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활동]

1.교사 또는 진행자는 교실 내 1명의 학생을 왕으로 선정한다. 단, 마음속으로 정하여 알지 못하도록 한다.
2.해당 학생의 특징을 3가지 생각하여 카드에 하나씩 적는다.
(예) '박하사탕 냄새가 났다', '발걸음 소리가 투박했다', '까끌까끌한 옷을 입고 있었다' 등

3.교사 또는 진행자는 학생 중 왕을 알고 있는 3명의 목격자를 선정한다.
4.목격자 3명은 앞으로 나와 왕의 특징이 적힌 카드를 받아 큰 소리로 읽는다.
5.왕의 특징을 잘 듣고 누구인지 맞히도록 한다.
6.진행자를 바꿔 위의 놀이 과정을 3번 반복한다.
[준비물]
활동지(8-1)
[활동팁]

1.왕의 특징을 적을 때는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사람이 단 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학급 내 친구들이 서로의 특징을 잘 모른다면, 충분히 잘 알고 난 뒤 본 활동을 실시한다.
2.조건을 작성할 때 ‘또는’이나 ‘그리고’, ‘~이상’, ‘~이하’ 등의 용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왕의 키는 160cm 이상이다.’ ‘왕은 안경 또는 머리띠를 착용하고 있다.’와 같이 기술하면 보다 조건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3.프로그램을 만들 때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 구조’라고 함을 놀이를 통해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다.

활동
2
물건 찾기 게임하기

[활동목표]
물건 찾기 게임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활동안내]
마음속으로 생각한 물건의 특징을 친구에게 이야기하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물건이 무엇인지 알아맞히는 물건 찾기 게임을 통해 선택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활동]

1.2인 1조 또는 4인 1조를 만든다.
2.술래를 정한 뒤 술래는 마음속으로 물건 하나를 떠올린다.
3.해당 물건의 특징을 3가지 떠올려 활동지의 조건 카드에 하나씩 적는다.
(예) 뾰족한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만졌을 때 매끄럽다, 철 냄새가 난다 등

4.나머지 학생들은 술래가 이야기하는 물건의 특징을 잘 듣고 해당 물건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5.어떤 물건인지 떠올랐으면 손을 들고 이야기한다.
6.정답을 맞힌 친구는 1포인트를 얻는다.
7.위의 과정을 4번 반복한 뒤 가장 높은 포인트를 얻은 사람이 승리한다.
[준비물]
활동지(8-2)
[활동팁]

1.물건의 특징을 적을 때는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물건이 단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한다.
2.조건을 작성할 때 ‘또는’이나 ‘그리고’, ‘~이상’, ‘~이하’ , ‘~보다’ 등의 용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이 물건의 가로 길이는 10cm보다는 크고, 15cm보다는 작다.’ ‘이 물건은 분홍색 또는 빨간색이다.’와 같이 기술하면 보다 조건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3.왕 찾기 게임과 물건 찾기 게임 활동을 통해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또는 물건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조건에 따른 ‘선택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놀이 활동이 잘 이루어지려면 조건을 잘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표현하는 연습을 여러 번 반복하도록 한다.

8-1
해당 학생의 특징을 3가지 찾아 아래 조건 카드에 각각 써 보기

(조건1)

(조건2)

(조건3)

(조건1)

(조건2)

(조건3)

8-2
해당 물건의 특징을 3가지 찾아 아래 조건 카드에 각각 써 보기

(조건1)

(조건2)

(조건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