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소리를 만들어요
【언플러그드 활동】
1. 몸으로 소리 만들기
2. 악기로 소리 만들기
1반복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가. 반복 구조
반복 구조란 명령을 여러 번 실행해야 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제어 구조를 말한다. 만약 반복 구조가 없다면 프로그램에서 여러 번 같은 일을 해야 할 때 반복되는 횟수만큼 명령어를 모두 써주어야 한다. 따라서 반복 구조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반복 구조를 사용하여 명령을 내리는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반복되는 횟수를 지정해 특정한 행동을 정해진 만큼 반복하도록 명령을 내리거나 둘째,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반복하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의 순서도에서처럼 명령이 시작되면 ‘명령 1’과 ‘명령 2’를 순서대로 실행하되 정해진 횟수만큼 이를 반복한 뒤 ‘명령 3’으로 넘어간다. 또는 ‘명령 1’과 ‘명령 2’를 순서대로 실행하되 반복되는 조건을 만족할 때만 이를 실행한다.


나. 반복 구조 익히기
다음은 ‘그대로 멈춰라’라는 노래의 가사이다. 노래 가사를 잘 살펴보면 같은 문장이 여러 번 반복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반복되는 노래 가사를 찾아 먼저 묶어보고, 이를 어떻게 반복 구조를 활용해 명령을 내릴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미션 활동 : 반복되는 노래 가사 묶어서 반복 구조로 명령 내리기
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 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파란 하늘빛 물이 들지요. 어여쁜 초록빛 손이 되지요.초록빛 여울물에 두 발을 담그면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위의 노래 가사를 따라 부르는 과정을 반복 구조를 활용해 빈칸 안에 명령을 내려봅시다.
[ ]를 ( )번 반복해서 불러[ 파란 하늘빛 물이 들지요. 어여쁜 초록빛 손이 되지요. ]를 불러 [ 초록빛 여울물에 두 발을 담그면 ]를 불러 [ ]를 ( )번 반복해서 불러
2소리 만들기 활동을 체험해 보자
활동1
몸으로 소리 만들기 활동하기
활동
1
몸으로 소리 만들기 활동하기
[활동목표]
몸으로 소리 만들기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몸으로 소리 만들기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활동안내]
학급 전체가 함께하는 활동으로서 몸으로 특정한 소리를 내보고, 반복되어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반복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학급 전체가 함께하는 활동으로서 몸으로 특정한 소리를 내보고, 반복되어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반복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활동]
1.우리 몸을 이용해 어떤 소리를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예) 두 손바닥을 부딪히면 짝짝 소리가 난다.
(예) 입술을 둥글게 만들면 휘파람 소리가 난다.
2.각각의 소리를 연결해 본다.
(예) ‘손뼉 치기 - 무릎 치기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 손뼉 치기’
3.연결된 소리가 반복될 수 있도록 한다.
(예) ‘손뼉 치기 2번 - 무릎 치기 3번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2번’ 등
(예) ‘손뼉 치기 - 무릎 치기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 손뼉 치기’를 2번 반복한다. 등
4.소리를 동시에 내보고, 어떤 부분이 반복되어 들리는지 확인한다.
1.우리 몸을 이용해 어떤 소리를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예) 두 손바닥을 부딪히면 짝짝 소리가 난다.
(예) 입술을 둥글게 만들면 휘파람 소리가 난다.
2.각각의 소리를 연결해 본다.
(예) ‘손뼉 치기 - 무릎 치기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 손뼉 치기’
3.연결된 소리가 반복될 수 있도록 한다.
(예) ‘손뼉 치기 2번 - 무릎 치기 3번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2번’ 등
(예) ‘손뼉 치기 - 무릎 치기 - 콩콩 뛰며 발자국 소리 내기 - 손뼉 치기’를 2번 반복한다. 등
4.소리를 동시에 내보고, 어떤 부분이 반복되어 들리는지 확인한다.
[준비물]
없음
없음
[활동팁]
1.몸에서 낼 수 있는 소리를 최대한 많이 찾아 보게 하되, 학생들이 자신의 몸을 심하게 때리거나 아프게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찾은 소리를 순서대로 내보는 활동을 먼저 한 뒤에 반복되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차, 반복 구조에 대해 다시 한번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3.전체 활동으로 진행하여 다 함께 소리를 내게 하여 학생들의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
4.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처럼 반복되는 명령은 묶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을 ‘반복 구조’라고 함을 놀이를 통해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다.
1.몸에서 낼 수 있는 소리를 최대한 많이 찾아 보게 하되, 학생들이 자신의 몸을 심하게 때리거나 아프게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찾은 소리를 순서대로 내보는 활동을 먼저 한 뒤에 반복되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차, 반복 구조에 대해 다시 한번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3.전체 활동으로 진행하여 다 함께 소리를 내게 하여 학생들의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
4.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처럼 반복되는 명령은 묶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을 ‘반복 구조’라고 함을 놀이를 통해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다.
활동2
악기로 소리 만들기 활동하기
활동
2
악기로 소리 만들기 활동하기
[활동목표]
악기로 소리 만들기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악기로 소리 만들기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활동안내]
개별로 자신만의 악기 소리를 만들어 보는 활동으로서 특정한 악기를 여러 개 선택하고 해당 악기 소리가 잘 어우러지게 소리를 반복하여 연주함으로써 반복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개별로 자신만의 악기 소리를 만들어 보는 활동으로서 특정한 악기를 여러 개 선택하고 해당 악기 소리가 잘 어우러지게 소리를 반복하여 연주함으로써 반복 구조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활동]
1.탬버린, 캐스터네츠, 트라이앵글 등 소리가 나는 악기 또는 음원을 준비한다.
2.각각의 악기를 연주해 보며 소리를 들어본다.(개인 활동)
3.자신이 원하는 대로 악기의 순서를 정하고, 순서대로 연주해 본다.
(예) 탬버린 - 트라이앵글 - 캐스터네츠 - 오카리나 등
4.반복되는 소리가 들어가도록 나만의 악기 소리를 만든다.(활동지)
이때 반복되는 소리는 그 횟수에 따라 x2, x3 등으로 표현되게 한다.
(예) 탬버린 - 탬버린 - 트라이앵글 - 트라이앵글 - 트라이앵글 - 캐스터네츠 - 탬버린x2 - 탬버린x2 - 트라이앵글x3 - 캐스터네츠x2....
5.내가 만든 악기 소리를 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시범을 보인다.
1.탬버린, 캐스터네츠, 트라이앵글 등 소리가 나는 악기 또는 음원을 준비한다.
2.각각의 악기를 연주해 보며 소리를 들어본다.(개인 활동)
3.자신이 원하는 대로 악기의 순서를 정하고, 순서대로 연주해 본다.
(예) 탬버린 - 트라이앵글 - 캐스터네츠 - 오카리나 등
4.반복되는 소리가 들어가도록 나만의 악기 소리를 만든다.(활동지)
이때 반복되는 소리는 그 횟수에 따라 x2, x3 등으로 표현되게 한다.
(예) 탬버린 - 탬버린 - 트라이앵글 - 트라이앵글 - 트라이앵글 - 캐스터네츠 - 탬버린x2 - 탬버린x2 - 트라이앵글x3 - 캐스터네츠x2....
5.내가 만든 악기 소리를 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시범을 보인다.
[준비물]
활동지(7-1), 탬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등의 실물 악기 또는 해당 악기의 음원
활동지(7-1), 탬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등의 실물 악기 또는 해당 악기의 음원
[활동팁]
1.활동지 활동을 하면서 반복되는 부분을 묶어 반복되는 횟수가 2번일 때는 ×2로, 반복되는 횟수가 3번일 때는 ×3로 표현하게 하여 반복되는 부분을 반복 구조로 표현해 보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 반복 구조를 사용해 명령을 내리면 효율적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탬버린이나 트라이앵글과 같은 악기가 아니라 우리 주변의 소리 나는 물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학생들이 좋아하면서 구하기 쉬운 소리 나는 물체로 대신해 보자.
3.소리 만들기 활동에서 반복되는 신체 소리 또는 악기 소리를 묶어 적당한 기호로 반복 구조를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1.활동지 활동을 하면서 반복되는 부분을 묶어 반복되는 횟수가 2번일 때는 ×2로, 반복되는 횟수가 3번일 때는 ×3로 표현하게 하여 반복되는 부분을 반복 구조로 표현해 보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 반복 구조를 사용해 명령을 내리면 효율적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탬버린이나 트라이앵글과 같은 악기가 아니라 우리 주변의 소리 나는 물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학생들이 좋아하면서 구하기 쉬운 소리 나는 물체로 대신해 보자.
3.소리 만들기 활동에서 반복되는 신체 소리 또는 악기 소리를 묶어 적당한 기호로 반복 구조를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반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7-1
반복되는 동작이 들어가도록 소리 율동을 만들어 보기
7-1
반복되는 동작이 들어가도록 소리 율동을 만들어 보기
<예시>





소리율동




반복구조로
표현
표현
소리율동
반복구조로
표현
표현
소리율동
반복구조로
표현
표현
소리율동
반복구조로
표현
표현